17일 오전 경기도 과천 중앙공무원교육원 강의실. 화면에는 미국 영화 ‘스피드’가 한동안 비춰졌다. 폭발물이 설치된 버스에서 주인공 키아누 리브스가 승객들과 힘을 합쳐 위기에서 벗어나는 대목이다.
주어진 과제는 ‘이 영화에서 혁신과 관련한 교훈을 찾아 보라.’는 것.40여명의 교육생들은 팀별로 난상토론을 벌인 뒤 각 분임이 찾아낸 교훈을 돌아가며 소개했다.30대부터 50대까지 연령층은 다양했지만 진지하게 참여하는 모습은 다르지 않았다.
‘음지에서 일하는’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17일 1박2일 일정으로 중앙공무원교육원에 들어갔다. 자타가 공인하던 ‘공무원 아닌 공무원’들이 사상 처음으로 공무원 교육에 참여해 ‘피교육생’으로 탈바꿈한 순간이었다.
공무원교육원 주변에서는 “세상 참 많이 변했다.”는 감탄사가 쏟아졌다. 국정원 직원들은 외부교육기관에서 단체로 숙식을 하며 교육을 받는 것 자체가 처음이라고 했다. 정보 기관으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그만큼 국정원의 변화 욕구가 크다는 뜻 아니겠느냐.”는 해석이 더해졌다.
실제로 이날 국정원 직원들의 난상토론에서는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버리자.”“나부터 고치자.”“고정관념을 탈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혁신 위한 사상 첫 외부교육
이번 교육은 ‘국가정보원의 혁신 가속화를 위한 혁신리더 과정’. 다음달까지 모두 6차례로 나뉘어 진행된다. 김만복 기획조정실장 등 국정원 간부 300여명이 참석한다. 원장과 3명의 차장을 빼고는 모든 간부가 참여하는 셈이다. 지방에서도 빠짐 없이 올라온다.
혁신교육은 박명재 공무원교육원장이 지난해 국정원 강연에서 좋은 반응을 얻은 것이 계기가 됐다. 불법감청 사건 등 최근 불거진 불미스러운 일도 혁신 교육을 강화하는 배경이 됐다.
김만복 실장은 “그동안에는 보안상 외부 교육은 엄두도 못 냈지만 국정원이 불법감청을 자백하면서 변화의 필요성을 스스로 인정한 만큼, 직접 혁신 교육에 참여할 필요성을 느꼈다.”면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고 국민의 신뢰를 받는 선진 정보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이대로는 안 된다는 욕구가 내부적으로 팽배해 있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공무원교육원이 지난해 모두 60여차례 교육을 실시했지만 국정원은 어느 기관보다 참여도와 열정이 두드러진다.”고 소개했다.
●유쾌한 분위기 속에 혁신 체득
국정원 혁신교육은 ▲변화와 변화경영 사례 연구를 통한 ‘혁신 주도하기 ▲혁신과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참여를 통한 ‘혁신 창조하기’ 등의 주제로 진행된다. 동영상 위주의 강의와 토의, 실습 등으로 꾸며졌다.
‘같은 회사’에 근무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서로가 초면이다. 명찰에 씌어진 이름도 가명이다. 일부 간부는 약속까지 취소하고 먼 길을 왔다고 볼멘소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재담과 함께 레크리에이션까지 가미한 강의가 시작되자 내내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교육 효과는 자연스레 높아졌다.
한 간부는 “오기 전에는 지루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강의 시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다.”면서 “유쾌한 분위기에서 혁신에 대해 자연스레 체득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다른 간부는 “국정원이 10년 뒤에는 도태되지는 않을까하는 위기의식이 들면서 ‘왜 이전에는 혁신을 생각하지 못했을까.’하고 반성하곤 한다.”고 털어놓고는 “생활 속에서 조그만 것 하나라도 바꿔 나가는 것이 나와 조직, 그리고 우리 사회의 성과로 나타나지 않겠느냐.”면서 밝게 웃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1-18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