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장관은 노무현 대통령 취임 이틀 후인 지난 2003년 2월27일 임명됐다.3년 23일 동안 장관직에 있었다. 참여정부 각료 중 최장수일 뿐 아니라 역대 정통부(체신부 포함) 장관 최장수 기록을 동시에 갖게 됐다.
그를 발탁한 노 대통령의 신임이 그만큼 두터웠다는 방증이다. 기대에 부응하듯 한국의 먹을거리 창출에 혁혁한 공로를 세웠다. 트레이드 마크가 된 ‘정보기술(IT) 839’ 전략의 수립·추진이다.
IT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잡도록 했으며, 세계 속의 IT강국을 현실화시켰다. 그가 가는 곳이면 언제나 ‘이슈’가 이어 나왔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난해 처음 발표한 ‘디지털기회지수(DOI)’에서 한국이 1위를 차지했고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지수’ 중 기술 인프라 부문은 2003년 27위에서 지난해 2위, 유엔 ‘전자정부 지수’는 2002년 15위에서 지난해 5위로 수직 상승했다.
얼마전 출입기자 간담회에서도 “한국의 먹을거리를 위해 더 일하고 싶다.”는 소망을 간절히 내비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상품성‘을 안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그를 내버려두지 않았다.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진대제 카드가 절실했다.“정치는 생소한 길”이라며 심사숙고하던 진 장관이 마침내 승부수를 던졌다.“필요한 곳이 있으면 봉사하겠다.”며 사실상 출사표를 던졌다. 지난달 28일이다.
진 장관은 조만간 열린우리당에 입당, 출마를 공식 선언한 뒤 경기도 수원에 사무실을 열 계획이다. 그의 정치적 실험은 지금부터 시작됐다.
최용규기자 yk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