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안녕·번성 산신에 비는 굿
강북구 우이동 삼각산에선 매년 삼짇날인 음력 3월3일 도당제가 열린다. 삼각산도당제는 ‘마을의 안녕과 번성’을 산신에게 비는 굿이다. 현재 다른 마을의 제의들은 대부분 단절된 상태다.
지난 4일 삼각산도당제 보존회장 차승헌(74)씨를 만났다.
보존회장인 그의 집안은 10대째 우이동 삼각산 인근 현재의 집에서 살면서 도당제에 참여해 왔다. 그는 “조상이 여기서 생활터전을 잡고 농사를 짓고 봄마다 마을이 번창하기를 빌었다.”고 말했다.
그는 광복 직후엔 마을마다 안녕을 비는 제의가 있었다고 했다.“해방 직후에도 마을마다 굿을 했는데 한국전쟁 후 극도의 빈곤 속에 여유가 없어지자 대부분 끊겼다.”고 말했다.“또 박정희 대통령의 무속신앙 근절책도 한 몫을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삼각산도당굿이 여전히 이어지는 비결에 대해 “촌이 바로 산 밑에 있어 다른 곳보다 산신에 대한 애착이 컸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고장 주민들이 떠나고 주변에 아파트가 생겨나면서 삼각산도당굿에 대한 관심도 서서히 기울었다.“20년 전 제의를 할 땐 무녀는 3명, 주민은 100여명도 채 못 왔다.”고 기억했다. 수백명의 주민들이 모여들던 광복 직후보다 훨씬 규모가 줄어든 것이다.
●관심 줄어 안타까워
그는 평소 이 도당굿이 쇠퇴하는 것을 안타까워했는데, 80년대 중반쯤 강북구 문화원 부원장을 맡으면서 도당굿의 부흥을 꾀하게 된다.
그는 “어렸을 때 증조부와 할아버지, 아버지가 굿 할 때 제사를 준비하는 화주 역할을 하는 걸 보았다.”면서 “하지만 나는 사업과 직장 등으로 도당굿에 관심이 적었다.”고 말했다.“하지만 지역 문화원에서 일하면서 대부분의 마을제의가 끊긴 가운데 삼국사기와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에 기록돼 있고 여전히 전수되고 있는 삼각산도당제의 소중함을 깨달았다.”면서 “특히 조상 대대로 이 곳에 살아 마을 문화에 대한 애착이 더 커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바로 삼각산도당제 보존회를 만들었다.“처음엔 회원 수는 도당굿에 참여했던 사람들이 주축이 된 20여명에 불과했다.”면서 “하지만 고유의 오랜 전통인 도당굿의 소중함을 마을 친목회 등에 알리자 회원 수가 매년 조금씩 늘었다.”고 설명했다.
보존회의 활동은 삼각산도당제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현 회원 수는 150여명. 회원들은 해마다 각각 회비를 1만∼10만원씩 내고 구청이 500여만원을 지원한다.
올해 합친 금액은 모두 1600여만원.10년 전엔 회비 100만∼200만원이 고작이었다.“이 돈으로 무녀를 20여명 모으고 축제를 보려 온 사람들에게 무료로 식사를 대접한다.”면서 “올해 관람자는 대략 600여명으로 20년 전보다 500명이나 늘었다.”면서 좋아했다.
●서울시 무형문화재 등록 추진
보존회는 지난달 ‘우이동 삼각산도당제’라는 책을 냈다. 문서로 남기는 게 후손에게 전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열정적인 회원 20명과 민속학 교수 2명이 5년 동안 노인들의 구전을 듣고 문헌을 찾아다니며 책을 펴냈다.”고 전했다.
그는 “올해 삼각산도당제를 시 무형문화재로 등록시키고 내년부터는 매년 10월 3일 삼각산 축제 때마다 삼각산도당굿을 할 계획”이라면서 “차후 삼각산도당굿을 강북의 지역 문화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박지윤기자 jy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