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 아파트 분양가를 평당 1200만원으로 계산하면 32평형의 분양가는 3억 8400만원이다. 결국 32평형의 계약금은 7680만원에 달한다. 중도금(60%)은 5개월 단위로 3840만원씩 5∼6차례 나눠 내야 한다. 업체마다 착공 시기가 달라 중도금 납부일은 서로 다르다. 잔금은 20%다.
중도금 대출은 업체가 집단으로 연계해 준다. 대출 금액은 분양대금의 40%인 1억 5360만원까지다. 판교신도시는 투기지역이어서 분양대금의 40%까지만 대출이 되기 때문이다. 결국 분양대금의 60%인 2억 3040만원은 다른 데서 조달해야 한다.
우선 고려할 수 있는 것은 주택금융공사의 모기지론(보금자리론)이다. 주택구입자금을 20년 장기대출로 받은 뒤, 매달 원리금을 갚아나가는 방식이다. 평형에 관계없이 6억원 이하의 주택이면 대출이 돼 이번 판교 분양에서는 모든 평형이 해당된다.
보금자리론은 입주 때까지 시중은행 금리가 적용되다가 입주와 동시에 담보대출(보금자리론)로 전환되면서 금리가 6.8∼6.85%로 바뀐다.
최고 3억원까지 빌릴 수 있는 게 장점이다. 하지만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이 자기 월소득의 3분의1을 넘지 못한다.
아파트 분양가가 3억원 이하면서 부부 연소득을 합쳐 3000만원을 넘지 않으면 생애 최초 주택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판교신도시 30평형대는 분양가가 3억원을 넘어 대광건영 23평형과 주공 24평형만 대상이 된다.
우리은행의 ‘아파트 파워론Ⅱ’는 20세 미만 자녀가 3명 이상인 가정의 경우 좋은 조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최저금리는 연 4.87%. 전세자금대출을 해주는 ‘우리홈론’도 판교 분양을 받아 입주할 때까지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활용할 만하다. 하지만 대출기간은 최대 6년으로 다른 주택담보대출에 비해 짧고, 금리도 최저 연 6.47%(변동)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아파트 완공시점에 잔금을 치를 때는 시중은행 담보대출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연 5.3∼6.4%(3개월 변동금리 기준)다. 하지만 주거래 은행이거나 본인의 신용도, 급여 및 공과금이체, 신용카드 가입 등에 따라 각종 할인혜택이 주어지므로 잘 알아보고 유리한 쪽을 고르는 게 좋다.
민간 임대아파트에 청약하는 수요자도 임대보증금이 모자랄 경우 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 대방건설, 모아건설, 진원이앤씨는 회사가 연대보증하는 형식으로 보증금의 40∼50%까지 금융기관 대출을 알선해준다. 금리는 5% 안팎이다.
강충식기자 chungsi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