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는 1차로 오는 7월부터 전국의 859개 읍·면·동사무소의 일반행정직 가운데 1∼3명을 복지직으로 전환시킨다는 계획이다. 내년 7월까지는 모든 읍·면·동사무소로 확대한다.
그러나 사회복지 관계자들은 사회복지 업무가 전문직이라는 사실을 감안하지 않은 결정이라고 반발한다.
동사무소 사회복지사인 김모씨는 “가끔씩 술을 마시고 행패를 부리기도 하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가 한동안 안보이면 무슨 일이 생겼는지 더욱 걱정이 커지는 것이 사회복지사”라면서 “참여정부가 그토록 지향하는 복지 사회가 무엇을 뜻하는지 의문스럽다.”고 꼬집었다.
사회복지사를 준비하고 있는 허정숙씨는 “사회복지에 뜻이 있는 주위 사람들에게는 ‘이 나라에서는 찬밥 신세인 사회복지를 선택하지 말라.’고 권하고 싶을 정도”라고 성토했다. 사회복지를 전공한다는 대학생은 “정부 정책은 결국 사회복지직을 일반행정직에 흡수하겠다는 것”이라면서 “대통령 임기 내에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을 1만 4000여명으로 확충하겠다는 공약을 지키는 것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행자부 관계자는 “사회복지직으로 전환되는 일반행정직은 과도한 사회복지직의 행정 업무를 맡는 만큼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직을 돕는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사회복지직으로 전환될 인력은 6월에 교육을 실시해 전문성 문제를 보완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