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2. 근로복지공단 서울지역본부 보상1부에서 일하는 이현숙씨. 의료직 6급으로 입사 8개월째 신참이지만 나이는 50세다. 지난해 8월 이씨와 함께 의료직에 뽑힌 120명 가운데 40대 이상이 10여명. 그는 유수한 종합병원의 간호과장을 거치는 등 간호업무 경력만 22년에 대학 강의 경험도 3년이다. 그는 “나이제한이 없는데다 안정적이고 신분이 보장될 것 같아 자리를 옮겼다.”고 서슴없이 밝혔다. 정신없이 바빴던 병원생활에서 벗어나 주5일 근무에 생활도 한결 여유로워졌다. 그는 “일하는데 직급은 문제가 안된다.”면서 “병원 경력이 업무와 관련이 있어 동료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어 행복하다.”고 말했다.
#사례 3. 농수산물유통공사 정보기획팀의 윤미순씨는 36세. 지난달 20명의 동기들과 함께 최고령자로 뽑혔다.30세 이상 동기생도 7명이다. 그는 직장 경력이 알려지면서 사내에 화제가 됐다.1992년 대학을 졸업하고 10년동안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 CEO 비서, 회계팀장을 두루 경험했다. 그는 “6년을 미국에서 근무하는 동안 국가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하고 싶었다.”고 공기업에 입사한 이유를 설명했다. 사회복지학을 전공한 윤씨는 기존 공기업 채용방식으로는 입사가 사실상 어려웠다. 하지만 연령제한을 폐지하고 면접을 중시하는 채용방식의 변화가 그에게 기회를 주었다. 특히 윤씨는 ‘역량면접’이라는 새로운 면접방법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다고 한다.
●공기업 9곳 연령제한 폐지
박씨와 이씨처럼 늦은 나이에 신입사원으로 취업에 성공하는 사례는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신규직원을 채용하면서 나이를 제한하지 않는 것이 새로운 추세이기 때문이다. 특히 공기업과 정부산하기관은 2∼3년전부터 앞다퉈 연령제한을 폐지하고 있다(표).
가장 먼저 연령제한을 폐지한 곳은 한국관광공사.2004년 1월부터 만 30세이던 신규 입사자의 나이 제한을 없앴다. 이후 한국조폐공사, 한국전력 등 9곳이 연령제한을 없앴다. 뿐만 아니라 다른 공기업들도 연령제한 폐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경력인정으로 조직융화 모색
공기업이 신규직원을 채용하면서 연령제한을 폐지하기 시작한 것은 2004년 기획예산처가 ‘공기업 경영혁신 추진지침’을 마련하면서부터. 현재는 88개 정부 산하기관에서도 연령제한을 폐지 또는 완화했다.
하지만 연령제한을 폐지한 뒤 공기업 인사담당자들은 “2∼3세 정도의 차이는 괜찮아도 더 이상은 직원들간의 융화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업들은 나이가 많은 신입사원이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하면 경력을 인정해주는 쪽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올 하반기 100명 안팎의 신규직원을 채용할 예정인 도로공사 이광호 인사팀장은 “40세 전후의 지원자가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하면 경력을 인정해줄 방침”이라고 전했다.
조폐공사 최영억 인사팀장은 “35세 이상의 입사지원자들은 대부분 경력을 인정받기를 원한다.”면서 “경력인정은 조직의 융화나 우수인재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
2006-5-8 0:0: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