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강원도에 따르면 춘천·강릉·동해·원주·태백 등 자치단체들이 유치위를 구성, 대응에 부심하는가 하면 이번 지방선거의 일부 후보들도 외국어고 유치를 공약으로 내세워 지역간 갈등 양상까지 띠고 있다. 자칫 ‘제2의 혁신도시’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낳고 있다.
춘천시는 지난 16일 강원외고 유치위를 창립했다. 시는 태스크포스팀을 만들고, 도시계획 기반시설 운영지원 등 학교 설립에 필요한 각종 행·재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또 강원도·강원도교육청 등과 연계해 영어체험마을 조성도 모색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강원외고 강릉설립추진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첫 회의를 갖고 강릉 연고 기업체를 통한 설립 자금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 추진위는 문성고를 중심으로 하는 컨소시엄 구성 방안이 여의치 않을 경우 강원외고를 강릉시립고로 설립, 운영하는 방안 등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동해시도 국제항을 보유하고 있어 외국인 출입이 가장 많다는 명분을 앞세우며 지가동 일대 시유지에 18학급 규모의 학교 부지를 마련해 놓는 등 외국어고 유치에 팔을 걷어붙였다.
이밖에 원주·태백시 등 2∼3개 자치단체도 외국어고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춘천·원주·동해의 경우 특정 학교법인과 설립을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도교육청은 오는 7월 말까지 강원외고 설립 계획 신청을 접수, 심사를 거쳐 11월쯤 설립자를 최종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도내에는 춘천 강원체고, 원주 강원과학고, 강릉 강원예술고 등 3개의 공립 특수목적고가 있다.
춘천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