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유행가 노랫말처럼 남성과 여성의 ‘만남과 헤어짐’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
서울에서만 하루 196쌍이 결혼하고,74쌍이 이혼을 하는 등 결혼과 이혼은 일상사가 되었다.
다만 시대가 흐르면서 결혼 연령이 늦어지고, 황혼 이혼이 늘어나는 세태를 반영한다.
‘2005년 통계로보는 서울여성’에 따르면 지난 2004년 한해 동안 7만 1553쌍이 결혼을 하고,2만 6994쌍이 이혼을 했다.
5년 전인 2000년과 비교해 혼인(7만 8745쌍)은 10%가량 줄었고, 이혼(2만 5477건)은 소폭 늘었다.
●재혼녀·초혼남 결합 큰폭 증가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 30.9세, 여성 28.3세로 5년 전에 비해 남성은 29.9세에서 1.2세 늦어졌고, 여성은 27.3세에서 1세 늦어졌다.
재혼 연령은 평균적으로 남성은 45세, 여성은 40세쯤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혼부부의 결혼연령차는 남성이 3∼5세 연상인 경우가 43.2%로 가장 많았고, 이어 1∼2세 37.4%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갑은 2000년 13.1%에서 15.2%로 2.1%포인트 늘었고, 여성이 연상인 경우는 11.8%에서 12.3%로 약간 증가했다.
혼인 행태별 혼인 구성비를 보면 ‘초혼녀+초혼남’이 5만 7037쌍(80.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초혼녀+재혼남’(3.3%),‘재혼녀+초혼남’(4.9%),‘재혼녀+재혼남’(11.4%) 등이었다.
2000년과 비교해 ‘재혼녀+초혼남’의 결혼이 2858쌍에서 3500쌍으로 크게 늘었다.
●이혼 매년 늘다 2004년엔 뒷걸음
이혼 건수는 2000년 2만 5477쌍에서 2001년 2만 8962쌍,2002년 2만 9351쌍,2003년 3만 2499쌍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 2004년 2만 6994쌍으로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가 각각 1만 1568쌍(42.8%)과 9058쌍(33.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20대 이하는 4039쌍이었다.
특히 60세 이상의 황혼 이혼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혼 이혼은 2000년 366쌍에서 2004년 566쌍으로 1.5배 증가했다.
50대의 경우도 2000년 1828쌍에서 2608쌍으로 크게 늘었다.
●여성 38% “결혼은 필수 아니다”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는 입장과 이혼을 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은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대체로 높았다. 또 여성이 남성에 비해 훨씬 더 개방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에 찬성하는 입장은 여성이 57.4%, 남성이 75.2%로 여성이 크게 낮았다. 반면 여성의 37.8%가 결혼을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돼 남성 22.0%보다 훨씬 높았다.
이혼을 반대하는 입장도 여성이 48.1%, 남성이 62.5%로 여성이 이혼에 대해서도 훨씬 개방적이었다.
연령별는 60세 이상 81.9%가 결혼에 찬성하고,77.4%가 이혼에 반대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