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제주문화원과 강진문화원은 오는 5일 북제주군 화북항과 강진군 마량항을 잇는 고대 뱃길 탐사 행사를 연다고 2일 밝혔다. 화북항과 마량항을 잇는 뱃길은 50∼60년전까지만 해도 말과 옹기, 소금, 곡류 등이 오가던 해상 실크로드였다. 또 탐라국 탄생신화에 등장하는 벽랑국 세 공주의 전설이 담겨 있는 신화의 뱃길이기도 하다.
5일 오후 제주를 출발한 ‘떼배’는 4일간 항해를 거쳐 9일 오후 마량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또 국내 각계 여성CEO 등 50여명은 선박을 타고 뱃길 탐사에 동행한다.
전통 뗏목배인 ‘떼배’는 통나무를 연결해 밑판을 만들고 밑판 위에 돛대 등을 올린 형태로 지금은 제주도와 강원도 정동진 일대에만 일부 남아 있다.
떼베가 도착하게 될 강진군 마량항은 조선시대 제주도에서 공출한 제주마가 육지에 첫 도착하는 기착지이며 신마(말이 처음 들어 오는곳), 숙마(말이 잠자는 곳) 등 지금도 말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있다.
이번 행사에는 제주마 생산자협회가 기증한 제주마 2마리가 마량항을 통해 들어오고, 강진 고려청자사업소는 특별 제작한 강진청자 가로등 3점을 제주에 기증할 예정이다.
떼베 도착에 맞춰 강진군 도예문화원에서는 ‘탐라·탐진의 역사적 재조명’이란 주제로 세미나도 열린다.
채바다 고대항해탐험연구소장은 “제주와 전남을 잇는 고대 뱃길을 처음으로 재현하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뱃길 재현 행사를 연례화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