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산업이 우리 사회의 새로운 동력으로 떠오른 요즘 지식의 ‘주체’인 인적 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인재론’을 다룬 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고만고만한 이야기로 독자들의 외면을 받기도 한다.
‘아름다운 인재혁명’을 최근 펴낸 중앙인사위원회 균형인사과 정부효(44) 서기관은 우리 사회의 공고한 남성 우월주의를 뛰어넘는 새로운 인재상을 제시하면서 차별점을 분명히 했다.
●이준기와 이효리의 인기 비결은 양성성
정 서기관이 책을 낸 것은 처음이 아니다.‘서서 오줌 누는 여자, 치마 입는 남자’,‘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등 벌써 두 권의 스테디셀러를 냈다. 모두 다른 성의 장점을 흡수하는 양성형 인간을 소재로 담았다.
정 서기관은 “인재의 중심이 남성에서 여성으로, 그리고 양성성을 가진 양성형 인재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인터넷을 비롯한 멀티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남성과 여성이라는 분류의 영역이 무너지고 서로의 장점이 결합된 ‘원 플러스 원’ 인재, 곧 ‘양성형 인재’가 사회적인 리더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화배우 이준기씨는 남성이면서도 여성보다 더 여성성을 지니고 있죠. 가수 이효리씨 역시 여성적이면서도 역동적인 춤을 춥니다. 여성적 능력을 가진 남성과 남성적 능력을 가진 여성은 더욱 큰 각광을 받을 것입니다.”
양성성으로 권력이 이동함에 따라 학력과 연령, 국적 등에 자유로운 새로운 인재 패러다임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부드러운 정부 국민에게 어필
정 서기관의 고향은 경남 함안. 보수적인 지역이라 성평등을 고민할 기회가 없었다. 사무관으로 공직에 들어온 지 15년 만인 2000년 행정자치부 여성정책담당관실에 발령이 난 뒤 ‘개안(開眼)’은 시작됐다.
“5급 이상 여성 공직자는 8.4%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왜 양성평등 정책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정부에서는 없더라고요. 여성학은 너무 어려우면서 남성을 적대시하는 시선이 여전하고요. 그래서 양성평등을 새롭게 공부하게 됐습니다.”
독학은 쉽지 않았다. 주말을 전문 서적과 씨름했다. 결국 2000년 말 ‘서서 오줌 누는’으로 첫 결실을 맺었다. 대중적으로 풀어 쓴 까닭에 반향이 적지 않았다. 당시 영부인 이휘호 여사가 읽은 뒤 그를 청와대로 초청하고, 진중문고로도 뿌려졌다.
큰딸 한주(12)에 대한 시선도 달라졌다. 억지로 여성답게 키우려 노력하지 않았다. 물론 여성 본연의 특성을 억누른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조화’이기 때문이다.
정 서기관은 “사회와 정부, 공무원들이 양성성을 흡수해 전체 국민에게 좀더 친숙하게 다가가는 데 도움이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기쁠 것”이라며 밝게 웃었다.
글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8-28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