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항이 최근 국제선 취항이 늘고 있으나 관련시설이 갖춰지지 않아 이용객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 때문에 광주상공회의소는 29일 재정경제부, 관세청과 각 정당에 보낸 건의문에서 “광주공항에 C·I·Q(세관·출입국관리·검역)기관이 상주하지 않아 급증하는 국제선 항공수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국제선 부정기 항공기의 입·출국 절차가 복잡하고 출입허가 수수료 부과 등으로 도시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의는 최근 3년간 광주공항의 국제선 운항편수(82.8%)와 여객(160%), 화물(207.5%) 수송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개항공항 지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중부권에는 김포·청주공항이, 동남권에는 김해·대구공항이, 제주권에는 제주공항이 개항공항으로 지정돼 국제선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서남권에만 개항공항이 없어 지역간 사회간접자본시설의 격차와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광주시와 상의는 지난 2003년부터 광주공항의 개항공항 지정을 관계기관 등에 요구해 왔으나 무안국제공항과의 중복투자 문제 등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광주공항은 광주∼중국 상하이 정기노선과 광주∼중국 선양, 광주∼톈진 등 2개 부정기 노선이 취항해 주 6회 이상의 국제선이 운항하는 등 개항지정 요건이 갖춰져 있다. 전국 14개 공항 가운데 김포, 김해, 제주 등을 제외한 지방공항이 만성적인 적자에 허덕이고 있으나 광주공항은 2004년 14억원에 이어 지난해에도 4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