꽹과리가 나지막하게 가락을 읊조리자 장구, 북, 징이 뒤따른다. 들릴락 말락한 소리가 어느새 구민회관을 뒤흔들 정도로 커졌다. 그러다가 느려지고 다시 빨라지고…. 록그룹처럼 장단에 맞춰 머리를 흔든다.
용산구(구청장 박장규)가 지난 2일 주최한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페스티벌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한 서빙고동 사물놀이가 두고두고 화제다.2004년 2월 창단한 새내기 동아리가 첫 대회 출전에서 19팀을 꺽고 1등을 거머쥐었기 때문이다.
서빙고동 사물놀이의 마력은 무엇일까.
서빙고동 새마을금고 이사장인 정무균(62) 단장은 “3대가 모여 사는 가족처럼 회원 18명이 어우려져 있다.”고 말했다. 구성원의 연령은 서빙초교 5학년생인 김웅길·이현호(11)군부터 채희수(72) 할머니까지 다양하다. 사물놀이에 관심있는 동네 주민들이 알음알음 모이다 이렇게 됐다. 대부분 이곳에서 30∼40년 살아온 터줏대감이라 호흡은 금세 맞췄다. 원용태(57)씨는 “가락에 흥을 더하면 세대·주민화합은 절로 된다.”고 자랑했다.
열정적인 강문임(61) 교사를 만난 것이 행운이다. 강 교사는 13년 전에 자원봉사를 하려고 사물놀이를 처음 배웠다. 가락이 좋아 전문가를 찾아다니며 장구, 태평소, 꽹과리를 배우다 전문가가 됐다. 그러다 창단하는 동네 사물놀이를 맡아달라는 제안을 받았다. 무보수 강사지만 강 교사는 일주일에 두차례씩 동사무소 연습실에서 수강생을 만났다. 그 사이 초보자들은 국악기 2∼3개를 다루는 전문가로 성장했다.
연습량만큼 실력은 늘었다. 대회 출전곡인 영남가락만 1년간 연습했다.9월부터는 매일 저녁 2시간씩 장단을 맞췄다. 채 할머니는 젊은이들에게 뒤질세라 생업인 문구점의 문을 닫고 연습실로 달려왔다. 피용순(55)씨는 “가족에게 미안할 정도로 매달렸다.”고 말했다. 평택 찜질방으로 합숙훈련을 떠나 화합도 다졌다.
힘들어도 사물놀이가 좋았다. 이은주(49)씨는 “힘껏 북을 내려치다 보면 쌓인 스트레스가 싹 날아간다.”고, 강신홍(65)씨는 “젊은 친구들과 어울리니 재미있다.”고 말했다.
첫 무대는 대성공이다. 쏟아지는 박수갈채에 어리둥절했는데 최우수상까지 받은 것이다.“이런 반응은 상상도 못한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용산구 대표로 서울시 대회에 나간다. 더 큰 도전을 시작한 것이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6-11-8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