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공무원들 집으로 불러주세요”
“가뜩이나 바쁠 것인디 어떻게 여기까지 오셨어. 미안해서 워쩔기여….”“몸도 안 좋은 할아버지가 어떻게 군청까지 오시겠어요. 저희 같은 젊은 사람들이 더 다녀야죠.”
지난 3일 오후. 충남 논산시청에서 30여분을 달리자 연무읍에 도착했다. 이날은 기초생활수급자 신청을 한 이승열(80)씨 2차 상담을 진행하는 날. 이씨는 동네 입구까지 나와 시청 상담사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담배 가게를 하던 부부는 가게 옆 공판장에서 담배를 팔기 시작하면서 벌이가 거의 없어졌다. 생활비를 보태 주던 둘째아들마저 부도가 났다.
“요즘 주민들의 형편이 말이 아니에요. 도시의 불경기가 고스란히 전해지죠. 직접 찾아 다니면서 더 많은 분들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 뿌듯합니다.”
부부의 사정을 자세히 메모한 사회복지사 성은미(38)씨는 다른 주민을 상담하기 위해 다시 차에 올랐다.
논산시의 인구는 13만 2400여명이다.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16% 정도인 2만 1570여명이다. 외출이 자유롭지 못한 노인들이 복지 서비스의 주 고객. 지난 7월부터 ‘찾아가는 서비스’를 주민생활 서비스개편 시범 사업의 핵심으로 삼은 이유다.
주민생활지원과 복지사 4명은 두 팀으로 나눠 복지 수급권자를 찾아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현장에서 파악해 각종 서비스를 연계 제공한다. 찾아가는 서비스를 시작한 뒤 3개월 동안 복지급여를 대신 처리해 준 것만 257건이다. 복지사들이 직접 방문해 대상 주민을 발굴하면서 혜택을 보는 수급권자는 4배 가까이 늘었다.
시범 사업이 시작된 뒤 복지사 한 팀은 하루 평균 두 집을 방문한다. 논산시 15개 읍·면·동을 모두 커버해야 하는 만큼 만만찮은 일이다.
복지 혜택을 홍보하기 위해 포스터와 유인물도 직접 만들었다.
주민들의 반응은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는 것. 복지사들이 찾아가면 연신 눈물을 흘리기 일쑤이다. 없는 형편에도 고구마며 과일 등 이것 저것을 꺼내 놓는다. 이모(71·취암동)씨는 “어려운 문제를 직접 찾아와 해결해 주는 복지사들 덕분에 살아갈 희망을 얻게 됐다.”고 고마워했다.
시청 집행부도 복지사들을 전폭 지원하고 있다.
이미 상담사용 휴대전화가 3대가 지급됐고, 내년에는 2대의 차량이 지원되어 복지사들의 ‘발’이 될 것이다. 넉넉지 않은 지방 재정을 생각한다면 파격적인 지원이다.
논산시 주민생활지원과 이한열 계장은 “우리를 찾는 이들은 낭떠러지에 몰린 사람들”이라면서 “사람을 살리는 일을 하고 있다는 보람에 더욱 큰 기쁨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글 사진 논산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06-11-9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