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수유2동 동사무소 앞에 놓인 쌀독의 쌀은 필요하면 누구나 퍼갈 수 있고, 또 마음이 내키면 누구나 부어 넣을 수 있다. 불우이웃이 쌀을 퍼가면 다른 주민이 쌀독을 채우는 식이다.
얼마 전 강원도에서 일자리를 찾아 상경한 중년 부부는 여관에 머물다 쌀을 구하려고 사랑의 쌀을 찾아왔다.“더 가져가라.”는 자원봉사자의 권유에도 “고맙다.”는 말만 되풀이하며 몇 주먹의 쌀만 가져갔다. 며칠 뒤 부부의 끼니를 걱정한 자원봉사자들이 쌀과 라면을 사들고 수십 군데 여관을 돌아다녔지만 찾지 못했다.
사랑의 쌀 아이디어는 올초 정월대보름 뒤풀이 자리에서 나왔다.‘생활보호대상자가 아니면서도 끼니를 걱정하는 이웃을 돕자.’는 의견이 나온 것이다.
80㎏들이 쌀독에 김현풍 구청장이 ‘황하수를 부은 물동이가 물을 퍼내면 되레 물이 불어난다.’는 중국 고사에서 따와 ‘화수분’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러나 처음에는 쌀이 줄기만 하고 늘지 않았다. 동네 노인 등이 배낭에 쌀을 가득 채워 들고 가곤 했기 때문이다. 하루에 2∼3가마씩 쌀이 줄어 자원봉사자들도 당황했다. 그러나 입소문이 나면서 슬그머니 쌀독에 쌀을 부어 넣는 이웃이 점점 늘었다. 지역 농협에선 쌀 5가마를 기증하기도 했다.
서경석 주민자치위원장은 “화수분이 아파트 입구마다 한 개씩 생겨서 이웃끼리 손쉽게 봉사하고 마음 편하게 퍼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6-12-12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