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군수는 지난 주말에 쓰러져 12일 현재 서울 영동세브란스병원에 입원, 치료중이다. 서천군 전익현 의원도 이날 금강하구둑 단식캠프에서 농성을 하다 병원에 이송됐다. 나 군수 등이 이같은 방법을 택한 것은 17년째 표류중인 장항국가산업단지 때문이다. 그러나 방법론을 두고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장항(370만평)은 1989년 군산과 함께 ‘장·군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됐으나 착공조차 안 되고 있다. 반면 군산산단(480만평)은 이달 말 완공된다.
장항은 또 지역경제가 침체돼 있다. 장항읍이 관할지역인 서천군의 인구 수도 공단지정 당시 10만명이 넘었으나 지금은 6만여명으로 줄었다. 게다가 국비 3230억원을 들여 어업권 보상까지 끝나 사업이 무산되면 예산낭비로 이어진다.
주민들도 장항공단 조기 착공을 촉구하고 있다. 이완구 충남지사는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건의문을 보내 조기 착공을 요구했다. 이어 11일 박성효 대전시장, 정우택 충북지사와 만나 중부권이 공동 대처키로 하는 등 정부를 압박하고 나섰다. 하지만 지역환경단체는 산단조성을 위한 갯벌 매립을 반대하고 있다. 서천환경운동연합 여길욱 사무국장은 “국가에서 산단조성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해양자연사박물관, 생태연구소 및 대학 등이 있는 생태도시로 바꿔 조성하면 생태·문화적 가치는 물론 경제성도 뛰어나다.”고 주장했다.
해양수산부 유종석 해양보전과장은 “이번 사태의 핵심문제 가운데 한 가지인 갯벌 매립과 관련, 신중한 검토와 판단이 필요하다는 당초 입장에서 바뀐 것이 없다.”면서 “다만 해수부와 건교, 환경부 등 여러 부처가 연루된 복합적 사안인 만큼 현재 국무조정실이 나서서 조정작업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