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지구단위계획 추진
12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시는 의정부역 옆 의정부동 캠프 폴링워터 부지와 역 동부광장을 묶어 ‘의정부역 역세권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추진중이다.
|
시는 부지 5만 7868㎡ 중 2만 3486㎡(40.6%)는 도로·광장으로,1만 9629㎡(33.9%)는 공원과 녹지로 활용하고 1만 4753㎡(25.5%)는 상업시설로 지정할 계획이다.
상업시설은 역세권 개발의 핵심사업인 의정부 민자역사와 연관돼 있다. 신세계가 8층, 연면적 8만㎡의 매머드 종합 판매시설 건축허가를 받아놓은 상태로 신세계측이 지구단위계획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의정부기독교연합회·의정부여성회·YWCA와 의정부·양주·동두천 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20여개 시민단체는 최근 ‘반환미군기지 문제 해결, 폴링워터 전면 공원화 범시민운동본부’를 결성, 폴링워터의 공원화를 요구했다.
●시민단체 “시의 상징공간 만들자”
시민운동본부는 폴링워터가 의정부 관내 8개 반환미군기지 중 제일 먼저 활용방안이 추진되고, 시의 관문인 의정부역과 맞붙어 도심에 위치하고 있음을 들어 시의 상징적 공간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50여년 동안 미군의 범죄와 환경오염 피해를 받아온 만큼 ‘시민공원’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운동본부는 폴링워터 활용계획이 ‘졸속으로 이뤄져 재벌과 부동산투기업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성명을 냈다.
운동본부는 폴링워터를 포함한 반환미군기지에 대한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민·관 합동기구 구성을 제의하고, 기름유출사고를 빚은 폴링워터에 대해 개발전 환경오염 치유를 요구했다.
●시 “재정 열악해 부지 매입 부담”
시는 시민단체들의 요구에 대해 현실론으로 맞서고 있다.
박종철 반환공여지개발단장은 공원화 주장을 수긍하면서도 “열악한 재정을 고려하면 아무리 계산해도 답이 안 나온다.”고 말했다.
폴링워터 부지의 총 매입비는 2600억원으로 추산된다. 공원처럼 공공시설 용지가 아니어서 시가 매입할 수 없고 국방부가 직접 분양하게 될 상업용지(700억원)를 제외하고, 나머지 매입비 1900억원 중 ‘주한미군 공여지역 지원특별법’ 등에 따른 지원을 받아도 490억원이 필요하다.
일반회계 전체 예산이 2000억원 수준인 형편에 향후 105만평에 이르는 8개 전체 반환기지 매입비 1조 3000억원 가운데 시 부담은 3000억원에 육박한다.
또 신세계가 지구단위계획 용역을 맡는 것은 시의 예산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상업부지 경쟁입찰에서 신세계가 낙찰받는다는 보장도 없다는 것이다.
폴링워터 개발은 앞으로 공청회와 경기도의 공여지 종합개발계획이 확정된 뒤에 시행된다.
의정부 한만교기자 mghann@seoul.co.kr
2006-12-13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