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행정고시 3차면접이 치러진 과천 중앙공무뭔교육원. 기온이 크게 낮지 않았지만 응시자들의 떨리는 심정이 전해진 탓인지 교육원의 분위기는 온기와 한기가 섞인 듯 오묘했다.
3차 면접은 오전에 90분간 이루어지는 집단토론과 점심식사후 이어지는 40분간의 프레젠테이션 개별 면접으로 진행됐다.3차 면접에서 376명 중 72명을 걸러낸다. 이날은 면접 나흘째로 일반행정(전국)직렬 108명이 면접을 치렀다. 응시자들은 최근 사법고시 대규모 탈락사태 때문인지 남는 시간 틈틈이 복도에 나와 말하기 연습을 하는 등 긴장한 모습이었다.
응시생들의 복장은 한결같이 여자는 검정색 투피스 치마 정장에 흰 블라우스, 남자는 감색 양복에 파란색 스트라이프 넥타이 차림이다.
인사위 관계자는 “자유복장이라고 했는데도 유니폼처럼 똑같이 입고 온다.”고 말했다.
응시자들은 오전 8시반까지 과천 교육원에 도착해 약 한시간가량 면접에 대한 안내를 받았다. 여기서 면접 평정표(평가표), 합격통지서 등을 직접 작성하고 최종합격자 등록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집단토론 면접은 9시50분부터 2개조(6명씩 12명)가 한 팀이 돼 토론을 벌였다. 면접관 6명이 응시생들 뒤에 앉아 참관하는데 마주보는 면접관이 자신을 평가하게 된다. 이날 면접주제는 ‘정부 부처간 사각지대 발생으로 인한 행정누수 현상’. 사회자가 어떻게 사회를 보느냐가 중요하다. 하지만 찬반토론이 아니기 때문에 튀는 발언을 하거나 격론이 붙지는 않았다.
오후 면접은 토론면접 때 평가했던 면접관 3명(대학교수, 민간 헤드헌터, 중앙부처 국장급 공무원)이 그대로 배석했다.
자신이 고른 과제에 대해 10분간 생각한 후 프레젠테이션을 하는데 ‘중요한 업무와 할아버지 제사와 겹쳤다면 어떻게 하겠는가.’‘국제교류단이 한국을 방문한다고 가정하고 기획안을 발표하라.’‘능력없는 부하직원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처럼 실제상황에 닥쳤을 때의 대응능력을 평가한다.
그러나 질문은 한번으로 끝나지 않는다.‘할머니가 돌아가셨다면?’‘결혼준비를 앞뒀다면?’‘당신이 장남이라면?’등 새로운 상황을 계속해서 제시해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한다.
나머지 시간에는 지망부처와 관련된 질문을 받았다.‘지망 부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소외계층 지원사업 실제 사례는?’‘지망부처에 배치를 못 받는다면?’등이었다.
지난해에 이어 면접을 참관한 면접개발자 하모씨는 “지난해보다 응시생들의 발표 내용이 훨씬 풍부하고 살아있는 자신의 의견이 많아 세련돼졌다.”고 평가했다. 최종 합격자는 22일 발표된다.
글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06-12-14 0:0: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