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오전 양천구 장애인복지관. 팽팽한 랠리가 계속 되면서 어느 순간 탁구 라켓을 든 다른 시선들이 모두 한 테이블에 쏠린다. 양천구청 탁구동호회 에이스인 김규춘(36·재난안전치수과)씨와 장애우팀 회장 서준형씨의 경기다. 서씨의 스매싱에 공이 상대 테이블 모서리를 튕기고 나가면서 랠리는 멈췄다.
스승 김규춘씨의 탁구실력은 전국대회 1부리그 수준. 아마추어 탁구에서는 적수를 찾기 힘든 ‘준 프로급’이지만 최근 일취월장하는 제자 서씨의 날카로운 백스매싱이 그를 괴롭힌다.
●봉사활동의 ‘턱´ 낮춘데 큰 의미
동호회 활동이 새로운 자원봉사활동의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봉사의 즐거움 가운데는 양천구청 직원들이 있다.
“봉사요? 그냥 즐긴다는 표현이 적당할걸요.”정경도(42·총무과)씨의 말이다.
양천구청 탁구동호회는 지난해 12월부터 매달 양천장애인복지관에서 탁구지도도 하고 친선경기도 갖는다.‘동호회 봉사’의 장점은 무엇보다 봉사활동의 턱을 낮췄다는 데 있다. 쉽고 즐겁게 할 수 있는 봉사이기에 누구나 할 수 있고 특별한 결심이나 계기를 마련할 필요도 없다. 덕분에 양천구청 소속 공무원 5명 중 1명은 봉사활동 참여자다.
동호회 서완수(55·신정1동장) 회장은 “굳이 말하자면 탁구봉사죠. 봉사라고 하면 희생정신이 투철한 남다른 사람들만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잖아요. 근데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곧 봉사가 되고, 남에게도 즐거운 일이 된다면 이보다 좋은 봉사가 어디 있겠어요.”고 말했다. 현재 탁구동호회 회원은 51명. 탁구봉사 덕분에 동호회원의 숫자도 정시모임의 출석률도 눈에 띄게 높아졌다.
●정보화연구 동호회, 컴퓨터 수리
양천구청 축구회도 지난 4월부터 매월 정기적으로 서울 SOS어린이 마을을 찾아 아이들에게 축구를 가르친다. 서울 SOS어린이 마을은 대부분 부모가 없거나 어려운 경제사정, 이혼, 질병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양육이 어려운 어린이들이 공동체를 이뤄 살고 있는 곳이다. 어린이마을에도 또래아이들처럼 축구를 좋아하는 아이들이 많다. 이 때문에 팀까지 만들었지만 함께 연습경기를 해줄 상대가 없어 고민이었다. 축구회 총무 김인하(42·구의회 사무국)씨는 “주로 안양천변에서 연습경기를 하는데 애, 어른 할 것 없이 진지하게 경기를 한다.”면서 “사실은 동호회원들이 더 좋아하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최신 정보화의 흐름을 연구하는 공부모임인 정보화연구동호회는 회원들의 기술로 봉사를 한다. 연구회원들은 복지관과 공부방, 경로당, 새터민 가정 등에 보급된 600여대의 컴퓨터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보수하는 일을 맞는다. 박양호(44·전산관리팀장)씨는 “PC 수리를 위해 따로 수리교육과정을 배울 만큼 열성적”이라고 말했다.
●송년회 대신 독거노인 급식봉사도
마라톤 봉사회는 올 송년회를 취소했다. 대신 만장일치로 22일 신월6동 경로식당에서 독거노인 등을 위한 급식봉사를 하기로 했다. 하루의 봉사지만 어려운 이웃들의 처지를 몸으로 느끼고 이해하기 위함이다. 동호회 관계자는 “술잔을 기울이는 것보다는 몇 배나 의미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6-12-22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