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자치구에도 주민자치센터가 활성화돼 있지만 서대문구의 수준은 그 어느 곳보다 높다고 자부한다. 특히 어학쪽에 빛을 발한다.
홍제2동 주민자치센터의 일본어 교실에서는 지난해 12월 일본어능력시험(JLPT) 합격자를 13명 배출했다. 이 시험이 일본정부가 공인하는 유일한 시험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합격의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2001년부터 합격생이 나오기 시작해 지난해 11명까지, 합격자가 60명에 이른다. 대다수가 40∼50대 주부들이다. 합격자 중에는 어떤 상황에서도 적절한 대응이 가능할 정도의 높은 수준인 1등급도 있다. 명실공히 일본어 메카로서 당당히 자리매김한 것이다.
북아현1동 주민자치센터에서는 ‘외국인 한글 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에 사는 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가 대상이다. 좋은 우리말을 바르고 편하게 쓸 수 있게 돕는 것이니만큼 무료로 진행한다. 수강생 15명 중에는 우리나라 어르신도 세 분 있다. 말을 하는 데는 무리가 없지만 읽고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이다.
오는 2월1일부터 3월30일까지 외국어 강좌로 중국어반(초·중급)과 영어교실 1개반을 더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31일까지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다.
서대문구의 주민자치센터에서 다양하게 개설한 어학교실에는 매 분기마다 300여명, 지금까지 6000여명이 거쳐갔다.
주민자치센터에서 좋은 강의를 발굴해 주민에게 제공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저그런 주민자치센터가 되느냐, 아니면 높은 수준의 주민자치센터가 되느냐를 결정하는 것은 자신들의 권리를 찾아 잘 활용하는 주민이 있기에 가능했던 것이 아닐까.
이정은
홍제2동 주민자치센터
2007-1-10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