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은 이민응(75·금호4동) 할아버지와 정종남(71·행당동) 할머니. 전공 과목은 한문이다.
물론 정식교사는 아니다. 이들은 성동구가 마련한 노인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의 하나로 어린이집에 배치했다. 노인들 일자리는 청소나 가로정비 등이 대부분이지만 성동구는 경력에 어울리는 일자리를 만들어 주기 위해 이들이 어린이 집에서 한자를 가르치도록 했다.
이들의 한자 수업은 수요일 오전 오후 1시간씩 이뤄진다. 오전엔 금사어린이집에서, 오후엔 진터마루어린이집에서 수업이 이뤄진다.
지난 10일 금사어린이집 한자 교육 시간.
“마을 입구에 천하대장군이 서 있습니다. 여기서 ‘서´에 해당하는 한자는 어떤 것일까요.”이어 이민응 할아버지가 칠판에 1중(中) 2입(立) 3서(西) 4하(下)를 써 나간다.
“저요.”“저요.”“2번이요.”
이들이 가르치는 학생은 금사어린이집 8명, 진터마루어린이집 9명 등 모두 17명.
이들은 지난해 12월에 한국평생교육평가원 주최 한자능력시험에 17명이 응시해 전원이 합격(8급)했다.15명은 90점을 넘는 높은 점수로 상장을 받았고, 이 가운데 2명은 60문제를 다 맞췄다.
소문이 나면서 오라는 곳이 많지만 이들 두 어린이집만 고집한다. 평가기관에서는 ‘애들을 잘 가르치는 비결이 뭐냐.’고 물어오기도 한다.
“2004년부터 이 일을 해오고 있는데 애들이 총기가 있어요. 국가에 희망이 있다고 봅니다.”이민응 할아버지의 얘기다.
이 할아버지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후 1960년까지 중학교 교사생활을 했었다. 이후에 일반 직장에 다녔다. 지금은 손자, 손녀가 8명이나 된다. 막내 손자는 대학교 2학년이란다. 이 할아버지에게는 ‘단짝 교사’가 있다. 같은 어린이집에서 한자를 가르치는 정종남 할머니다. 정 할머니 역시 노인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어린이집에 배치돼 이 할아버지와 함께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둘이서 가르치니 힘도 들지 않고 어린이들도 좋아한단다. 두 선생님은 어린이들에게 재미있게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에 요즘은 마술도 배웠다.
이들에게는 규정상 1년에 9개월만 월 20만원의 수당이 지급된다.3개월은 보수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보수가 나오지 않는 달에도 어김없이 어린이집을 찾는다.
“어디 돈 때문에만 나오는 것인가요. 애들이 한자를 배우면서 재미있어 하는 모습을 보면 흥이 절로 납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07-1-12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