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행 한 달여 만에 제기된 환승 및 통학불편·도심상권 위축 등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 2개 간선을 신설하고 13개 노선을 연장하는 등 모두 26개 노선을 조정, 운행하기로 했다. 이번에 개편된 노선은 다음달 8일부터 시행된다. 동과 서, 남과 북으로 교차하는 2개의 간선 노선을 신설한다.
옛 20번을 되살린 ‘두암∼도심∼매월’ 노선을 신설, 시내를 동서로 가로지른다.
봉선∼운암∼문흥 노선은 남북으로 시내를 관통해 주요 주거지역과 도심을 연결한다.
또 진월 17번 등 13개 노선을 연장하고, 상무 02번 등 3개 노선은 통합한다.
지원 51번(증심사∼문화전당역)은 옛 1번을 코스 위주로 첨단지구까지 연장 운행한다.
송정 98번(호남대 광산캠퍼스∼목련마을)도 옛 222번과 비슷하게 충장로 등을 경유해 봉선동까지 연장한다. 진월 177번(전남학숙∼백운광장)은 양동시장까지 연장 운행된다. 지원 151번(화순∼전남대병원)은 광천터미널까지, 상무 02·송정 196번은 송정 39번으로 통합돼 나주터미널∼장등동까지 운행, 화순과 나주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덜게 됐다.
이번 준공영제 시행으로 가장 반발이 컸던 민원인은 양동시장 상인들이다. 당초 18개 노선이 시장을 통과했으나 10개로 노선이 줄었기 때문이다. 시는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기존 노선의 연장 운행 등을 통해 다시 18개 노선으로 환원했다. 대인·말바우·남광주시장 등 다른 재래시장 노선도 늘었다.4개 노선이 없어진 금남로·충장로 등 도심 상권에는 5개 노선을 추가 투입해 25개 노선이 경유한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