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만원짜리 한우도 있어
경북 상주감을 먹여 키운 ‘상감한우’ 777㎏짜리 한마리(생후 30개월)가 지난 23일 농협 서울축산물공판장 경매에서 1034만여원에 낙찰됐다. 이 공판장 문병섭 경매사는 “750㎏ 안팎에 그치고 700만원선에 거래되는 일반 한우에 비해서 엄청나게 많이 나온 금액”이라면서 “1000만원을 넘어가는 한우는 연간 2∼3마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한우가 1000만원을 넘은 것은 오래 전이다. 충남도와 농협이 지역 한우를 브랜드화한 ‘토바우’는 지난해 2월 800㎏짜리가 서울공판장에서 1120만원에 낙찰됐다. 강원도가 춘천, 철원, 화천 등 5개 시·군의 한우를 광역 브랜드화한 ‘하이록’은 지난 9일 1015만원(732㎏)에 낙찰됐다.
강원도 횡성 한우는 지난해 1300만원에 팔려 국내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 소는 체중에서도 1117㎏으로 국내 한우 중에 가장 많이 나간 것으로 기록돼 큰 관심을 끌기도 했다.
이들 한우는 1등급 중에서도 최상급인 ‘1++’로 평가된 것이다. 한우고기는 모두 3등급으로 분류된다.1등급은 ‘1++’‘1+’‘1’ 밑에 각각 ABC를 붙여 9단계로 나뉜다.
●홍보와 판매전략도 다양
상감한우는 상주감 껍질로 만든 특허사료를 먹였다고 홍보한다. 상주는 감의 고장으로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다. 상주축협은 124농가 9600여마리를 엄격 지정, 사육하며 고급화를 위해 이력추적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자랑했다.
하지만 농협충남본부 토바우담당 정진곤 차장은 “소는 기능성이 없어 감 성분이 흡수되지 않는다.”며 토바우는 발효사료를 쓴다고 되레 자랑이다.
기존 배합사료에 비지와 짚 등을 섞어 3∼4일간 발효시킨 것을 먹여 항균제와 항생제 등 유해성분으로부터 안전하다는 것이다.680농가 3만 3000마리 토바우 가운데 출하되는 소의 86%가 1등급을 받는다고 했다.
이들 한우는 농협 브랜드축산물 문정점 등 서울로 진출, 경쟁하고 있다.
곡성 등 전남지역 8개 시·군에서 브랜드화한 ‘순한 한우’는 롯데백화점에서만 판매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고급화를 위해 백화점에만 진출했다.”며 “㎏당 12만원에 팔려 일반 한우보다 두배쯤 비싸지만 물량이 달려 150개 점포 가운데 절반만 납품하고 있다.”고 말했다. 횡성 한우는 지역내 판매와 택배판매에 한정하고 있다. 횡성 한우는 지난해 9월 축산물 중 처음으로 ‘농산물지리적표시제’로 등록됐다. 최종성 군 한우명품계장은 “횡성 한우는 인지도조사 때마다 전국 최고로 나타나 광역 브랜드화가 필요없다.”면서 “소비자가 와야 먹을 수 있는 등 시장이 차별화돼 있다.”고 말했다.
전국종합·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7-2-1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