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강사들 수도권만 선호
대구시교육청은 지난해까지 46명이던 원어민 영어 교사를 올해 100명까지 늘리기로 하고 지난해 말부터 54명의 원어민 교사 확보에 나섰지만 현재 11명 밖에 확보하지 못했다.
리크루트 업체 2곳에 의뢰해 원어민 교사를 충원한 뒤 새달부터 추가 투입해 운영키로 했지만 리크루트 업체들도 구인난을 호소해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전북도교육청과 경북도교육청, 대전시교육청도 원어민교사 추가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전북도교육청은 올해 66명의 원어민 교사를 채용할 계획이다.22개 시·군교육청에 영어 원어민 교사 60명을 배치하고 있는 경북도교육청은 2학기에 10명을 추가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워놓았다.33명의 원어민교사를 배치한 대전시교육청은 2학기에 41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하지만 2학기가 시작되는 9월에는 기존 교사의 계약 만료와 모집 인원의 증가로 구인난이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영어마을 등 수요 증가가 원인
가장 큰 원인은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 전국 각 교육청에서 원어민 교사 수를 점차 늘려가고 있는데다 최근 영어마을 붐이 일면서 전국적으로 3000명가량의 원어민 교사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더구나 원어민 교사들이 수도권을 선호해 지방의 인력난은 더욱 심한 실정이다. 일부 원어민 교사들은 지방으로 오기도 하지만 1년 정도 있다가 수도권으로 다시 올라가고 있다. 수도권 일부에서는 교육부의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고 원어민 교사에게 급여에 수십만원을 더 얹어주고 있어 지방의 구인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프로그램 축소 등 대책강구
대구시교육청의 경우 다음 달부터 추가 배정키로 한 원어민 교사를 일부만 투입하고 원어민 교사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실시키로 했던 ‘ABC 전화영어’의 규모도 줄여 나가기로 했다.
또 일부 교육청은 시교육감 등 교육청 간부들이 미국의 교육청을 방문해 교사 교류 및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자체 홈페이지와 다른 인터넷 구인 사이트를 통해 원어민 교사 모집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해에는 지자체에서 예산을 지원해주지 않아 자금난으로 원어민 교사를 확충하지 못했는데 올해는 예산을 확보하고도 구인난 때문에 또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전국종합 cghan@seoul.co.kr
2007-2-15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