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미지역은 화순항과 함께 그동안 해군기지 건설 후보지로 거론돼 왔던 곳으로, 위미1리 주민들은 최근 기지 건설에 따른 주민 피해보상 등을 해군측에 요청했다.
이에 따라 해군은 주민들에게 이주민 보상계획과 기지 규모 등을 설명하고 위미1리가 해군기지로 적합한지 여부에 대한 기초조사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 위미항 서쪽 속칭 ‘밍금포’를 중심으로 해안가를 인공섬 형태로 매립해 기지를 건설하는 기본구상(안)도 공개했다.
김동문 해군기지사업추진단장은 “주민 동의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해군기지 건설 후보지로 위미1리 지역이 유력하다.”며 “해군기지 규모를 해안 1㎞ 내외로 계획하고 있어 1.6㎞ 정도 되는 위미1리 해안만으로도 충분히 해군기지 건설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해군은 위미1리 해안의 수심, 유속 등의 자료를 수집·분석해 군항으로서 입지여건이 타당한지 여부에 대해 조만간 결론을 낸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장건환 위미1리 이장은 “주민들이 해군기지 유치에 동의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해군측에 기지건설에 따른 주민피해보상 등의 정보제공을 요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위미2리 해군기지반대범대책위원회는 “해군측이 일방적으로 기초조사 작업을 벌이는 등 기지건설을 강행하고 있다.”면서 “위미2리, 신례2리는 반대운동을 계속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지역 일간지인 한라일보가 최근 제주도내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해군기지 건설 찬성 45.8%, 반대 32.5%로 나타났다.
또 해군기지 건설 여부는 51.7%가 전체 도민 주민투표로 결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7-2-16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