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광주시에 따르면 오는 10월 전국체전을 앞두고 국내 최고의 작곡가, 작사가, 가수 등이 참여하는 교향곡과 시민의 노래 ‘광주의 찬가(가칭)’를 제작하기로 했다.
교향곡은 빛고을 광주의 이상과 꿈을 웅장한 교향곡 형태로 표현, 전국체전 개·폐회식 배경 및 주제음악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광주의 찬가는 기존 ‘시민의 노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노래로 현대적 감각과 누구나 손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대중가요 형태로 제작할 방침이다.
새로운 노래가 소양강 처녀(춘천), 목포의 눈물(목포), 서울의 찬가(서울), 부산갈매기(부산) 등 인기 대중가요가 되도록 하겠다는 발상이다. 그러나 ‘시민의 노래’가 이미 만들어져 있는데도 이를 아는 시민들이 거의 없을 정도로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향곡과 노래 제작에 수천만원을 사용하겠다는 방침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울산시가 전국체전 때 제작했던 ‘불매야’는 행사 전후로 반짝 불렸으나 지금은 대다수 시민들이 노래가 있는지도 모를 정도다. 시민 이모 (40·광주시 서구 치평동)씨는 “관 주도로 만들어진 노래가 대중가요처럼 불려질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