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부터 적용되는 새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라 서울신문사의 주소는 이렇게 바뀐다. 새 주소체계는 1997년 시범사업으로 추진된 지 10년 만에 빛을 보게 됐다.
오늘부터 새주소로 서울 등 7대 광역시·도의 101개 시·군·구에서 새 도로명 주소체계가 적용되기 하루 전인 4일 서울 종로구 가회동의 한 주택가에 걸려 있는 도로명 주소판 옆으로 한 시민이 걸어가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
이에 따라 기존 번지·통·반 등은 해당 건물에 인접한 도로 이름과 건물 고유번호로 대체된다. 새 주소는 인터넷(www.juso.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100여년간 써온 지번식 주소에 익숙해 있는 만큼 ‘넘어야 할 산’도 많다. 가장 큰 문제로는 대국민 홍보 부족이 꼽힌다. 도심·상업지역의 불법 간판도 정리해야 하고, 주민등록 등 9200여종의 공문서에서 주소를 변경해야 한다.
박 장관은 “올 연말까지 도로명 주소에 맞는 지도를 제작해 무료 배포하고, 불법 간판을 정비하는 등 적극 지원할 방침”이라면서 “도로명 주소가 정착되면 연간 4조 3000억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1년까지는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를 함께 사용하며,2012년부터 도로명 주소로 전면 대체된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7-4-5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