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초구 등 서울시내 자치구에 따르면 대당 수십만원씩 하는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보급을 위해 현금을 지원하는가 하면 음식쓰레기 분해에 도움이 된다며 발효 흙은 물론 쌀뜨물이나 지렁이까지 나눠준다.
음식점에는 ‘먹다 남은 음식’은 스스로 싸갈 수 있는 전용봉투와 ‘반공기 500원’이란 문구도 등장했다. 말 그대로 음식물쓰레기와의 전쟁이다.
●현금으로 20만원 지급
“냄새가 안 나서 한쪽에 모아 뒀어요. 나중에 텃밭 비료로 쓰려고요.”
서초구 잠원동에 사는 주부 전복희(52)씨는 최근 4개월간 음식쓰레기를 한번도 내다 버리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전씨와 같은 주부 모니터요원들에게 구청이 무상 지급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덕분이다. 전씨의 집에서 4개월간 나온 음식쓰레기의 양은 10ℓ짜리 쓰레기봉투 1개 정도. 감량기 설치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양도 줄었다. 바로바로 분쇄하고 건조하는 탓에 냄새도 없고 위생적이다.
모니터단의 반응이 좋자 서초구는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구입해 설치하는 가정에 기기가격의 50%(최대 20만원)까지 지원하기로 관련 조례를 개정 중이다. 동사무소 등에 감량기계를 설치했다는 확인을 받으면 구청이 지원 한도 내에서 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특히 서초구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는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설치를 의무화하는 조례를 제정하고 입법예고에 들어갔다.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이다.
적지 않은 예산부담을 감수하면서도 서초구가 감량기 보급에 나선 것은 날로 증가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다. 서초구 한곳에서만 날마다 125t의 음식물쓰레기가 생겨난다. 처리비용도 한해 70억원가량, 더군다나 매년 11%씩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증가하고 있다. 서초구는 “의회승인 절차만 거치면 음식쓰레기를 줄이는 데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전체 가정이 설치한다는 가정 하에 연간 약 38억원 정도의 구 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남은 음식 싸가기’운동
음식쓰레기 배출량이 많은 요식업소를 공략대상으로 삼는 자치구도 많다. 강북구는 올해부터 20평 이상 일반음식점 1168개소를 대상으로 ‘남은 음식물 싸주기’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자신이 먹던 요리나 반찬이 남을 경우 위생봉투에 담아 집으로 가져가는 방식이다.
우수 실천식당 등에는 최대 8000만원까지 내부시설 개선비용 등을 융자해 주는 한편 구 소식지 등을 통해 업소 홍보도 도와줄 계획이다.
도봉구와 동대문구는 양이 작은 사람에게 음식의 반만 주고 돈도 반만 받는 ‘절반가격 식사제’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구는 이와 함께 일반음식점의 반찬 수도 줄이고 적당한 양만을 제공하는 ‘좋은 식단제’실천운동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음식쓰레기 모범구를 자처하는 동작구는 지난 2005년부터 ‘가져가고,나눠먹고,다 먹고’란 말을 줄인 ‘가나다’ 운동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구청식당과 회사, 학교 식당 등에 스스로 먹을 만큼만 떠먹는 ‘빈그릇 운동’을 진행하는가 하면 매월 첫째 수요일을 ‘수다날(수요일은 다먹는 날)’로 정해 각 관공서 및 학교에 비치된 잔반통을 없애고 있다.
자발적으로 쓰레기 줄이기에 참여하는 업소도 3600여곳이 넘을 정도로 활성화됐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7-4-6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