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댐건설단은 원활한 댐 공사를 위해 5월부터 수몰지역내 가옥을 강제 철거할 방침인 반면 수몰민들은 군위군과 건설사업단측이 지금까지 이주지를 마련해 주지 않고 있다며 ‘이주 불가’로 맞서고 있다.
16일 군위군과 화북댐건설단에 따르면 본격적인 댐 공사를 위해 다음달부터 수몰지 내의 가옥 및 수목, 지장물 등 모든 토지 및 물건을 강제 또는 임의로 철거한다.
현재 수몰지 내에는 주민 55가구와 면사무소와 보건지소, 파출소 등 5개 공공기관, 고로 초·중학교, 농협지소, 우체국 등이 남아 있다. 또 사과·포도·대추나무 등 상당수 과수목과 비닐하우스·창고동·축사 등 지장물이 있다.
이에 따라 건설단은 최근 수몰지내 집과 수목, 지장물을 보유한 주민 등 300여명에게 이달 말까지 자진 이주해줄 것을 통보했다.
건설단은 또 면사무소와 보건지소 등 공공기관에는 건설단이 댐 건설현장 인근 하류지역에 마련한 가건물로 임시 이전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대다수 수몰민들은 “생존권이 확보되지 않는 한 절대 이곳을 떠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파출소 등 일부 관공서도 수몰민들이 이주를 하지 않는 한 임시 이전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재학생이 15명과 12명인 고로 초·중학교도 아직 보상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이전이 불가능하다. 특히 수몰지역인 고로면 학성1·3리 (45가구)는 100㎜ 이상의 많은 비가 오면 침수가 불가피해 장마철을 앞두고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된다.
현재 댐의 가물막이는 해발 174m 높이로 축조돼 비가 오면 수몰지역은 물이 차게 된다.
이런 가운데 군위군과 댐건설단이 주민 40가구를 수용할 목표로 고로면 화북3리(동산지구) 일대 부지 7만 620㎡(2만 1400평)에 조성하기로 한 이주단지 사업도 차질을 빚고 있다.
댐건설단 등은 당초 올해 말까지 이주단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지금까지 부지매입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데다 예정부지 80% 정도가 문화재보호구역(인각사 사적 제374호)이어서 사업추진을 위한 현상계획변경 등에 2년 정도 시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주단지 입주를 희망한 수몰민 13가구 중 7가구도 공사지연 등을 이유로 입주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전체 공정 40% 상태인 화북댐(높이 45m, 길이 330m, 총저수용량 4870만㎥)은 총 2800억원을 투입,2008년 완공목표로 지난 2004년 6월 착공했다.
군위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07-4-17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