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속초시와 설악동번영회에 따르면 숙박업소와 상가 등이 밀집한 설악동 B·C지구는 4,5월이면 설악산으로 수학여행을 온 학생들로 크게 붐볐다. 그러나 최근 2∼3년 전부터 수학여행단이 크게 줄어 업소마다 휴·폐업을 걱정하고 있다.
올 들어 속초시와 설악동번영회는 설악산 관광경기 회복을 위해 전국의 초·중·고 등을 대상으로 협조공문을 보내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수학여행단 유치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은 교통불편과 볼거리 등이 부족한 점을 들어 학생들이 제주도와 남해안과 서해안, 외국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더구나 국립공원의 개발 규제에 묶여 낡은 건물을 그대로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 속에 콘도미니엄 등을 선호하는 것도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특히 서해안고속도로와 KTX 등 교통인프라와 경쟁력 있는 관광레저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서해안과 남해안의 관광지가 비교 우위를 점하면서 설악산 관광이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또 지난해부터 시작된 설악∼금강산연계 관광도 일반 관광보다 3배가량 비싸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설악동 상가 164곳 가운데 100여곳이, 숙박업소는 80곳 중 20여곳이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속초시에 따르면 설악산을 포함해 속초를 찾은 관광객은 2004년 1200만 5000여명에서 2005년에는 1096만 5000여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1023만 4000여명으로 2년 사이 200만명 정도 줄었다.
조경식 설악동번영회장은 “설악산이 수학여행의 명소라는 말은 옛말이 되고있다.”면서 “국회에서 6개월이 넘도록 표류하고 있는 설악권을 위한 통일관광특구법안이라도 하루빨리 통과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설악산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2007-5-3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