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 개발로 마을을 떠나게 된 주민 3000여명을 위로하기 위해서다. 전시관에서는 마을의 모습과 생활상 등을 담은 사진과 동영상을 볼 수 있다.
토공 관계자는 “1년 간 주민들을 따라다니며 만들어낸 결과”라면서 “택지개발이 이뤄질 때 사이버 고향을 계속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수산물유통공사도 사이버 공간에서 농작물을 키우는 ‘나의 농장’ 서비스를 지난해 11월 시작했다. 홈페이지(www.foodtown.or.kr)에 가입하면 감자·고추 등 농작물을 키우고, 수확의 기쁨도 누릴 수 있다. 회원 수가 6500명에 이르며, 빠르게 늘고 있다.
저소득층과 장애인 등을 위한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지난해 11월 ‘겨울철 난방비 지원 캠페인’을 벌여 모두 45가구를 지원했으며, 올해에는 지원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소외지역 주민들을 위한 봉사활동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수자원공사는 댐 인근 주민들을 위해 세무컨설팅을 실시하고, 친환경농업 시범단지를 조성·제공했다.
대한석탄공사는 광산지역 빈 사택을 주민들에게 낮은 가격으로 임대해 주고, 인천중앙병원을 비롯한 산재의료관리원 소속 자원봉사단은 주말에 사회복지시설과 오지 등을 찾아다니며 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지난해 ‘바다이야기’ 등 불법 성인오락게임에 사용됐던 컴퓨터 3만 3000대를 확보, 정보취약 계층에 무료로 나눠줬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