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의 수련관을 지어 재단을 운영하는 일부 시·군의 생색내기식 지원에서 탈피해 10곳의 청소년 관련시설에서 연간 200만명이 넘는 인원을 소화한다.
●연간 220만여명 이용
시는 17일 현재 7곳인 청소년수련관과 문화의 집, 쉼터 등 청소년시설을 2009년까지 10곳으로 늘리고 연간 이용가능 인원도 현재 130만명 수준에서 220여만명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청 체육청소년과 등 시 관할부서에서 담당하던 업무와 수련관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던 사무를 육성재단으로 모두 이전해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청소년 지원에 나선다.
●청소년 관련법 손질
시는 우선 판교택지지역내 판교청소년수련관과 구시가지 지역인 수정구 은행동 청소년문화의 집, 중원구 청소년수련관 등 3곳의 청소년시설 추가건립과 육성재단 조직구성을 위한 조례를 제정한다.
이 가운데 중원청소년수련관은 올해 말에, 내년 10월에는 은행동 청소년문화의 집,2009년에는 판교청소년수련원이 각각 개관된다.
육성재단은 이사회와 위원회, 감사 외 2팀 8명으로 구성, 가능한 한 슬림화하고 중복업무 등 필요할 경우 기존 수련원 인원을 활용할 계획이다.
앞으로 재단은 방과후 아카데미, 노령사회 대비교육, 부모교육 3개년, 가족사랑 나라사랑, 청소년 멘토링 등 5가지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재단은 인재 보호와 복지강화에 주력한다. 이를 위해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전문가 집단인 재단 위원회의 역할을 중시하고 있다.
15명으로 구성되는 위원회는 시의원과 청소년업무 종사자 및 경험자들로 채워진다. 공개적이고 전문화된 경영을 위한 두뇌 역할을 담당한다.
재단은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청소년 문화인프라를 구축하고, 행정조직과도 연계해 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성남시만의 청소년문화를 창출하고 단순한 재정지원에서 탈피해 인적자원 지원에 주력하게 된다.
●시설별 차별화와 특성화
10곳의 청소년 시설은 각각 차별화되고 특성화된다.
판교청소년 수련관이 완공되는 2009년에는 청소년수련관이 5곳, 쉼터 2곳, 문화의 집 2곳, 지원센터 1곳 등 모두 10곳의 청소년시설이 지역별로 청소년들의 문화창달과 복지향상에 나서게 된다.
수정청소년 수련관에는 수영장과 체력단련실, 체육관, 공연장 외 청소년들을 위한 전용 인터넷 방송국이 설치된다. 서현청소년수련관에는 어린이 도서관이 설치되고 로봇제작을 염두에 둔 특화사업이 실시된다. 정자청소년수련관에는 영상 특화사업의 일환으로 공연장과 동아리연습실, 도서실 등이 마련됐다.
올해 말 개관예정인 중원청소년수련관은 환경을 위주로 한 청소년들의 교육장소로 제공된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에서는 재단이 예산낭비를 초래하고 퇴직 공무원들의 자리 보전을 위한 방편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하고 있다.
성남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
2007-5-18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