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최근 지역의 새터민 138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해 실시한 ‘새터민의 정착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질병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54%가 ‘있다.’고 답변했다. 이들의 39.4%는 ‘치료받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해 대책마련이 시급했다. 또 24.8%인 30명만이 취업을 하고 있고, 나머지 75.2%인 91명은 직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취업자도 정규직은 7명에 불과했으며, 나머지는 비정규직(16명)이거나 자영업(2명) 등으로 나타났다.
직장을 구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 58.8%가 ‘능력(자격증과 기술 등)의 부족’을 꼽았고,27.5%는 ‘사회의 차별과 편견’을,7.5%는 ‘취업정보 부족’을 원인으로 들었다.
지역사회 적응에 가장 어려운 점으로 34.8%가 문화 관광시설 이용을 들었으며, 다음으로 이웃과의 관계(11.2%), 공과금 등 납부방법(7.9%), 관공서 이용(6.7%), 백화점마트 시장 등 편의시설 이용(6.7%) 등을 꼽았다.
적응과정에서 주된 상담자로 30.2%가 경찰을 꼽았으며, 이어 민간(봉사)단체(29.6%), 가족. 친척(10.1%), 공무원(8.4%), 종교단체(8.4%), 복지관(6.15) 순이었다.
광주 거주 새터민은 남자 69명, 여자 127명 등 모두 196명이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