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는 18일 갈수록 심각해지는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4대 교통프로젝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현재 59.4%에 불과한 대중교통분담률을 75%로 끌어올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에 따르면 강남·영동·도산대로, 테헤란로, 언주로, 남부순환로, 압구정로 등 8차선 이상 7개 간선도로에 모두 18.97㎞의 버스전용 차로를 설치할 계획이다.
강남구에는 현재 8.35㎞의 버스전용차선이 설치돼 있지만 이 가운데 강남대로만 중앙차로이고, 영동·도산대로와 남부순환로, 압구정로는 가로차선을 채택하고 있다. 테헤란로와 언주로는 버스차로제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버스중앙차로 설치 문제는 서울시와 강남구가 협의 중이며, 전용차로 설치는 시 사업이지만 강남구가 비용의 일부를 내는 방안을 검토되고 있다. 이 같은 중앙차로제가 갖춰지면 강남을 ‘ㅁ’자형으로 순환하는 강남순환 셔틀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 셔틀버스는 압축천연가스(CNG)를 사용하며, 주요 간선도로는 물론 지하철 환승역, 주요 시설들을 순환한다.
CNG셔틀버스는 우선 삼성역에서 강남역을 오가는 단거리에 시범도입한 후 앞으로 10여개 노선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강남을 찾는 사람들이 자가용 승용차 대신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강남구 경계지점에 복합환승센터를 건립하기로 했다. 거론되는 지역은 일원동 탄천하수처리장, 세곡동 임대주택단지, 수서역 환승주차장, 염곡동 화훼마을, 세곡동 임대주택단지 등 5곳이며 이 가운데 1∼2곳을 선정할 방침이다.
강남구는 이와 관련, 다음달 중 이들 ‘4대 교통프로젝트’ 실현을 위한 용역을 발주하고, 내년 중반쯤 용역결과가 나오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편 강남구는 전임 권문용 청장 때 추진했던 모노레일이 서울시의 도시철도 건설계획 등에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이를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