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중앙인사위가 공개한 인사통계에 따르면 2006년 말 중앙부처 일반직 공무원의 평균 퇴직 연령은 49세다.1∼9급 일반직 공무원 가운데 해마다 공직을 떠나는 퇴직자들의 평균 연령이다. 정년은 법규상으로 6급 이하는 57세,5급 이상은 60세로 돼 있는데, 이런 저런 이유로 도중에 퇴직하는 공무원들이 있다 보니 평균 연령은 정년보다 낮은 셈이다.
하지만 공무원의 평균 퇴직 연령은 2002년의 45세와 비교하면 4세나 늘어났다. 공직을 떠나는 사람들이 크게 줄어들면서 일찌감치 공직을 떠나는 8,9급의 퇴직 연령은 변화가 없지만 고위직의 조기퇴직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9급으로 공직에 입문했다 그만두는 경우는 2002년과 2006년 모두 평균 28세였다. 반면 2단계 승진한 뒤인 7급은 평균 46세로 2002년의 41세와 비교해 5세가 늘었다.6급으로 그만두는 사람은 평균 53세였는데, 한 직급 높은 5급의 평균 퇴직 연령은 51세였다.
1∼2급은 4년 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3∼4급은 1∼2세 정도 높아졌다.
퇴직 사유는 지난해 공직을 떠난 1만 2630명 가운데 정년퇴직이 44%인 5577명으로 가장 많았다.28.9%인 3646명이 스스로 공직을 떠나는 ‘의원면직’을 택했다.16% 2033명은 명예퇴직을 했다. 파면이나 해임 등 징계퇴직을 당한 경우도 146명이었다.
일반직 공무원 2538명을 분석해보니 스스로 공직을 떠난 ‘의원면직’이 33%인 8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명예퇴직이 32%인 802명이고, 정년퇴직은 29%인 733명이다.
공무원 시험 경쟁률은 2004년이 가장 높았다.9급은 2002년 2915명 선발에 10만 5286명이 응시해 36.1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2004년엔 1798명 선발에 16만 1613명이 응시해 무려 90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후 선발인원이 늘면서 응시자가 늘어도 경쟁률은 떨어져 2005년 79대1, 지난해는 68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중앙인사위 황서종 정책총괄과장은 “5급의 평균 퇴직 연령이 갑자기 낮아진 것은 상당수 5급 고시출신과 특채 출신자들이 도중에 그만두기 때문”이라면서 “앞으로도 이 같은 자료를 수시로 공개해 각부처에서 자료로 활용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2007-8-10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