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 축 태안, 14조원 생산유발효과
태안군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는 태안읍과 남면의 천수만 간척지 B지구 1464만㎡로 일산 신도시와 맞먹는 규모다. 현대건설이 태안군과 함께 2020년까지 9조 156억원을 투입, 인구 1만 5000명 규모로 조성한다.
14조원의 생산 유발,16만명의 고용 유발 등 경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완공 후 2조 4000억원의 관광 매출과 6만여명의 취업 효과도 예상된다. 주민들은 착공 하루를 앞두고 설렘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주민들로 구성된 태안군 기업도시유치추진위원회 강홍순 위원장은 “기업도시가 안면도로 가는 길목에 있어 그곳 주민들은 피해가 있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지만 대부분 주민은 반기고 있다.”며 “주민들은 기업도시가 낙후된 태안지역 경제를 크게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태안을 뺀 전국 5개 기업도시의 일부는 참여업체간 이견 등으로 늦어지고 있다. 토지보상 등 문제도 향후 추진과정에서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전남 무안 산업교역형 기업도시는 법정 자본금의 10%에 크게 미치지 못해 건설교통부 기업도시위원회의 심의·승인을 얻어내기 어려운 상태에 있다.
자금금이 374억원으로 전체 개발비의 10%인 1240억원에 못 미치고 있다. 쌍룡·프라임그룹 등이 출자하고 있다. 이들은 무안읍, 청계·망운·현경면 일대 35㎢의 부지 가운데 15.3㎢만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했다.
●무안·무주·원주 등 착수시기 지연
전남 해남·영암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도 참여업체간 이견으로 지연되고 있다. 선도사업인 ‘F1(포뮬러원) 국제자동차경주대회’를 열 경주장만 우여곡절 끝에 얼마 전 착공됐을 뿐이다.
전북 무주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도 당초 올해 말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2008년 말로 늦춰졌다. 이 착공시기마저 현재로선 장담하기 어려운 상태다.
대한전선이 추진하고 있으나 주민반발이 있는 데다 문광부 승인 및 부처간 협의과정에서 문제가 생긴 탓이다.
강원 기업도시도 토지보상을 둘러싸고 토지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2012년까지 부지조성을 끝내고 기업체들의 입주를 받을 예정이나 당초 계획대로 추진될지 의문이다.
충북 충주 지식기반형 기업도시는 내년 2∼3월 착공될 예정이다. 참여업체간 이견으로 3개월 늦어졌다. 포스코와 주택공사, 임광토건 등이 참여한다.
하지만 전체 부지의 54%가 사유지여서 ‘보상비가 너무 낮다.’ ‘고향을 떠나지 않겠다.’등의 이유로 주민과 토지주들의 반발이 예상돼 적지않은 어려움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종합 충주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7-9-18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