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시가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를 분석한 결과, 주 출산연령층(25∼34세) 여성의 미혼율은 강남구가 65.3%로 단연 높았다.
●커리어 우먼 밀집지 미혼율 높아
결혼적령기 100명의 여성 가운데 65명이 미혼인 셈이다. 과거에 속칭 ‘노처녀’라고 일컫던 30∼34세 여성의 미혼율도 44.4%에 이른다.
이어 ▲종로 58.1% ▲서초 57.8% ▲관악 56.7% ▲동작 54.2% ▲광진·서대문·중구 54.0% ▲용산 53.7% 등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 노원은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낮은 40.0%로 나타났다.
미혼율의 지역별 차이는 혼자 사는 젊은 여성의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발생한다고 한다. 강남구와 서초구 등에 사는 젊은 여성 중에는 이른바 ‘커리어우먼’으로 불리는 전문직 여성과 대기업, 금융기관에 근무하는 직장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게 서울시 통계분석팀의 설명이다. 이들은 주로 사무실과 오피스텔이 밀집된 역삼동 등에 원룸을 얻어 살면서 가까운 직장으로 출·퇴근을 한다.
●동대문 의류타운 종사여성 많아
미혼 여성이 종로구에 많은 이유에 대해서는 분석팀 내부에서도 의견이 분분했지만 인근 중구의 동대문 의류타운에서 판매업에 종사하는 젊은 여성들이 많고, 또 이들 의류점에 옷 등을 납품하는 가내공장도 창신동, 숭인동 등에 밀집된 게 원인으로 결론지었다. 판매나 생산 활동을 하는 젊은 여성 가운데 결혼을 미루고 근처에 전세방을 얻어 끼리끼리 모여 산다는 것이다.
관악구 신림동·봉천동 등에도 허름한 단칸 월세·전세방이 많은데, 이곳에는 주로 지방에서 올라온 젊은 여성들이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동작구에는 비교적 싼 전세방이, 용산구·마포구·송파구 등에는 아담한 오피스텔이 많았다.
반면 노원구, 도봉구 등에서는 미혼율이 뚝 떨어지는데, 이는 신혼 집으로 선호하는 아파트가 많은 덕분에 결혼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미혼율을 누르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역별로 단정을 지을 수는 없지만 강남과 노원의 미혼율 차이가 크다는 점에서 나름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9-28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