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없어 예산 축내는 행사 차등 지원 통해 퇴출 유도
지역축제의 구조조정이 시작됐다. 민선 자치시대 이후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던 축제 가운데 경쟁력이 떨어지고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는 축제들이 대거 퇴출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도 한해에 5개 이상의 축제를 열고 있는 자치단체도 적지 않아 축제에 대한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축제의 섬’ 제주도는 최근 축제 평가를 통해 ‘선택과 집중’에 따른 예산 차등 지원 등으로 경쟁력 없는 축제를 퇴출시키기로 했다.제주축제육성위원회(위원장 김동전 제주대 교수)는 최근 3월부터 9월까지 열린 지역 특성화 축제 6개와 지역특산물축제 2개, 생태자연축제 2개, 전통문화축제 3개, 문화예술축제 4개 등 17개의 축제에 대해 현장모니터링 등 종합평가를 했다.
이번 평가를 통해 6개 축제에 대해서는 예산지원 증액, 또 다른 6개 축제는 현행 수준 유지,2개 축제에 대해서는 예산 삭감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1개 축제에는 예산을 대폭 삭감해야 한다는 결론을 냈고 성격이 비슷한 일부 축제는 평가 대상에서 제외, 통합을 주문했다. 축제평가 결과는 예산 부서에 통보돼 내년 예산 편성시 지원액 등이 반영될 예정이다.
축제육성위원회는 10월 이후에 개최되는 축제도 현장 평가를 실시, 연말에는 올 한해 열린 모든 축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최종보고서를 마련할 계획이다.
●지자체들 평가단 운영·행사 통합
축제에 대한 구조조정 여론이 높자 서울시는 2006년 5월 ‘문화예술축제의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축제 지원과 평가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또 관·학·민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된 축제심의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
부산시도 2005년 축제현장평가제도를 도입했다. 지역축제평가단의 평가를 토대로 축제 지원금을 차등 지원하고 있다.
전남도 역시 지역축제전문평가단을 운영해 우수 축제에는 인센티브를 준다. 충남도는 지역축제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문제점 있는 축제에는 일몰제를 적용한다.
전북 순창군은 올해부터 민속예술제와 장류축제, 군민의 날 행사를 하나로 묶었다. 임실군 역시 소충제, 사선제, 군민의날 행사 등을 통합해 10월 소충사선문화제를 열고 있다.
강원 태백시는 내년부터 태백산눈축제 등 4대 축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축제위원회를 통합하기로 했다. 시는 그동안 축제가 열릴 때마다 한시적으로 위원회를 구성, 운영해 왔으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전북은 1년에 52개 축제 열어
타 시·도에서는 축제 구조조정이 단행되고 있으나 전북지역은 아직도 축제가 넘친다. 도와 14개 시·군에서 열리는 축제가 52개나 된다. 이들 축제에 지원되는 예산만 한해 80여억원에 이른다. 축제가 많이 열리는 10월의 경우 19개의 축제가 몰려 있다.
고창군은 모양성제, 복분자축제, 수박축제, 수산물축제 등 군에서 추진하는 축제만 8개나 된다. 주민들이 개최하는 국화축제까지 합하면 9개의 축제가 열린다. 이 때문에 고창군청에는 축제팀이 별도로 설치돼 있는 실정이다.
인구가 3만명도 안 되는 무주군은 군청 주도로 여름에 반딧불축제를 개최하고 6개 읍·면별로 별도의 축제를 연다. 적상면은 단풍축제, 구천동은 철쭉제, 안성면은 천마축제, 무풍면은 옥수수축제, 부남면은 강변축제 등을 개최하고 있다.
남원시에서는 3월 지리산 고로쇠약수제를 시작으로 5월 춘향제와 바래봉철쭉제,10월 뱀사골 단풍제까지 6개의 축제가 거의 매월 열린다. 군산시도 주꾸미축제, 철새축제 등 5개의 축제를 개최하고 정읍 역시 단풍축제와 내장산 겨울축제 등 5개의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축제의 증가는 자치단체들이 특산품과 관광지를 홍보해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명분을 내걸고 억지로 축제를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체장의 치적 쌓기와 홍보와도 맞아떨어져 예산을 퍼붓고 있는 실정이다.
자치단체의 기획과 연출로 개최되는 축제는 보잘것없고 다른 지역 축제와 비슷한 경우가 많아 관광객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전북도의회 배승철 의원은 “관 주도로 열리는 일부 축제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 이벤트”라고 지적하고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평가단을 구성하고 평가시스템을 도입해 평가 결과를 가지고 축제별 차등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07-10-12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