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서부사무소가 전남 유·무인 도서지역에 무분별하게 방목된 염소를 잡아 들인다. 섬의 자연생태 복원을 위해 방목 염소를 제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4일 해상국립공원 서부사무소에 따르면 2010년까지 신안군 흑산면 등지의 무인도에 살고 있는 염소를 없애기로 했다. 이는 상위 먹이사슬이 형성되지 않은 무인도에서 기하급수적으로 번식하면서 야생 동식물의 서식 환경을 크게 훼손하기 때문이다.
대상 지역은 신안군 흑산·하의·도초·비금면과 진도군 조도·임회면 등 6개면 유·무인도 203개 섬에 이른다. 이 가운데 신안군 비금면 우세도·도초면 석황도, 진도군 조도면 납태기도·백야도·행금도 등 50여개 무인도에 800여마리의 염소가 방목돼 무리를 지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염소는 천적이 없는 상태에서 봄철에 새싹을 먹어 치우고, 겨울철에는 식물뿌리와 나무껍질까지 갉아 먹으면서 섬 생태계를 황폐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염소 분비물은 지하수와 토양오염을 유발하는 등 2차적인 생태 교란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꼽혔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측은 지자체·경찰·주민대표 등으로 ‘국립공원 방목가축 포획협의회’를 구성하고 무인도 내 염소 처리 방안을 협의해 왔다.
서부사무소는 1차로 25∼26일 포획 견(犬)과 인력을 투입, 신안군 흑산면 1번지 ‘가도’(6만 2579㎡)에 방목된 염소를 생포 또는 사살해 주인에게 돌려줄 계획이다. 이번 포획 작업에는 흑산면사무소, 목포경찰서 흑산파출소, 해양경찰 흑산파출소, 야생동물보호협회, 주민 등이 참여한다.
서부사무소 ‘방목염소 제거 담당’ 이국성(50) 계장은 “염소에 의한 섬의 식생 파괴가 극심하다.”며 “범위가 넓은 유인도보다는 규모가 적은 무인도부터 차례로 염소를 제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