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의 정체와 대상 추론
문제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은 진술 간의 모순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두 진술이 모순 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반드시 하나는 참, 다른 하나는 거짓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특히 참이나 거짓인 진술이 하나일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참이나 거짓을 2명 이상 진술하고 있는 문제에서 동일한 진술을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참과 거짓인 진술을 구별하는 문제에서 진술 내용이 동일하다는 것은 그 사람들이 동시에 참이거나 동시에 거짓인 진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문제 해결의 매우 중요한 열쇠가 된다. 마지막으로 진술 간의 모순 관계와 동일 진술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에는 특정한 사람의 진술을 참과 거짓인 두 상황을 가정하고 다른 사람들의 진위 관계를 연쇄적으로 파악하는 경우, 또는 특정 인물을 구하는 문제에서 진술의 진위 수가 정해져 있으면 특정 인물을 각각 정답으로 가정한 후 진위의 수가 일치하는 사람을 정답으로 도출하는 경우가 있다.☞ 참말과 거짓말Ⅱ (이론 및 실전문제) 바로가기
예제 1.참말만 하는 예술인과 거짓말만 하는 정치인, 두 부류만 사는 도시에 A라는 여행객이 갑, 을, 병 세 사람과 만나 이야기하게 되었다.A가 갑에게 “당신은 예술인입니까? 아니면 정치인입니까?”라고 물어 보았으나,A는 갑의 대답을 정확히 알아듣지 못하였다. 그래서 옆에 있던 을에게 갑이 한 말을 물었더니 “갑이 자신은 정치인이라고 대답했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병은 을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반박하였다. 갑, 을, 병은 각각 어느 부류에 속하는가?
※ 갑은 자신의 정체와 관계없이 무조건 예술인이라고 대답하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예술인은 예술인이라고 참말을 하고, 정치인은 거짓으로 예술인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을은 거짓말을 하고 있으므로 정치인이며, 이를 반박한 병은 예술인에 해당한다.
정답 갑-판단 불가, 을-정치인, 병-예술인
예제 2. A,B,C 세 사람만 살고 있는 금성에서, 탐사 중인 한 지구인과의 대화이다.B와 C의 정체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금성에는 진실만을 말하는 종교인과 거짓만을 말하는 속세인, 두 종류만 존재한다.)
(1) 종교인 - 속세인 (2) 속세인 - 속세인
(3) 종교인 - 종교인 (4) 속세인 - 종교인
(5) B와 C 모두 알 수 없다.
1. 우선 C가 B의 진술을 거짓이라고 말하고 있으므로,B와 C의 정체는 서로 다르다.
2.(1) A가 종교인인 경우 :자신 외에도 B,C 중에 종교인이 한 명 더 있으므로 A는 종교인이 한 명이라는 거짓을 말할 수 없다.
(2) A가 속세인인 경우 : A,B,C 중에 종교인이 한 명밖에 없는 것이 참이므로 거짓을 말하는 A는 이 경우에도 그러한 내용의 진술을 할 수 없다.
3. 따라서 B는 A가 할 수 없는 내용의 말을 했다고 거짓말을 했으므로 속세인이며, 이 사실을 옳게 지적한 C는 종교인이 되는 것이다.
정답 (4)
방재훈 베리타스 법학학원 강사
2007-11-22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