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는 세계로 향하는 실용외교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핵심 사업별 투자를 확대하고, ODA 예산은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규모를 조정하여, 26년 예산안(3조 6,028억원)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 외교부 전체 예산 : ('25년) 4조 2,788억원 → ('26년) 3조 6,028억원
※ 외교부 ODA 예산 : ('25년) 2조 8,093억원 → ('26년) 2조 1,852억원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고위급·실무급 협의를 강화하고, 미 의회·주정부·학계 등 여론주도층과의 교류를 확대하겠습니다. 또한, 한미 안보 분야 협력을 심화·확대하는 가운데 주한미군지위협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가겠습니다.
※ 북미지역국가와의 전략적 특별협력관계 강화 : ('25년) 51억원 → ('26년) 75억원
우리 기업 지원을 위해 미국 행정부와 의회의 경제 입법 및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우리 기업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도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겠습니다. 또한, 중국에 진출한 기업의 현지 애로사항을 해소함으로써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신규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에는 실질적 지원을 확대하여 수출 확대와 시장 다변화를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 미국 경제동향 대응 : ('25년) 10억원 → ('26년) 14억원
※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와의 경제협력 : ('25년) 5억원 → ('26년) 11억원
우리 정부 최초로 중앙아시아 5개국과의 한-중앙아 정상회의를 개최하여 전략적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중앙아시아 지역과의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강화하겠습니다.
※ 2026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 개최 : ('26년) 68억원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계승·발전시키고 글로벌 사우스 등 주요 협력 지역과의 외교 네트워크를 다변화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신정부 정책 방향에 부응하는 지역전략을 추진하며 국제사회와의 의견 교환을 통해 효과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겠습니다. 또한, 2026년에는 아프리카 국가와의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해 장기적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겠습니다.
※ 지역전략 수립 및 이행 : ('26년) 9억원
※ 아중동지역국가와의 교류협력 강화 : ('25년) 35억원 → ('26년) 67억원
대한민국이 세계를 선도하는 K-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해 재외공관 플랫폼화 사업을 강화하고, 주요국 및 글로벌사우스 대상으로 사업을 다변화하며, 국민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활용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습니다.
※ 공공외교 활성화 : ('25년) 225억원 → ('26년) 256억원
외교안보 데이터 플랫폼 구축사업(`25~`27)을 차질 없이 진행하여, AI 기반의 외교정보 분석 및 정책지원 능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외교 분야에서 AI 선도국이 되겠습니다.
※ 지능형 외교안보 플랫폼 구축 : ('25년) 106억원 → ('26년) 107억원
내년은 우리나라의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가입 30주년으로, 이에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한국문화 홍보의 장을 마련하고, 우리 경제·사회의 지속 성장을 위해 한-OECD 협력이 앞으로도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겠습니다.
※ OECD 가입 30주년 기념 : ('26년) 7억원
향후 외교부는 2026년 예산안이 국회심사에서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