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종로구에 따르면 서울의 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탕춘대성(홍지동 136 일대)의 훼손된 성곽을 관광자원개발 차원에서 원형 그대로 다시 쌓기로 했다.
복원되는 산성의 구간은 인왕산에서 홍지문을 거쳐 북한산(삼각산) 향로봉에 이르는 5.1㎞ 성곽이다. 산성의 대문 격인 홍지문(弘智門)은 이미 1977년에 복원됐다.
조선의 숙종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수도방위가 위협을 받자 1718년부터 이듬해까지 농한기를 피한 석달 동안 3∼4m 높이의 산성을 쌓았다. 산성의 이름은 세조가 풍류를 즐기기 위해 근처 산봉우리에 만들었다는 탕춘대(현 세검정초등학교 자리)에서 따왔다.
숙종은 성 안에 연융대(鍊戎臺)를 설치, 병사들에게 무술을 연마시켰다. 국란에 대비해 지방에서 올라오는 식량 등을 비축하는 국가 창고도 있다.
병영을 뜻하는 지금의 신영동(新營洞)이나 창고를 의미하는 평창동(平倉洞) 지명도 여기서 유래됐다. 일제 때 발행된 우편엽서에는 산성의 원형을 잘알 수 있는 사진이 남아 있다.
그러나 산성이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3호로 등록됐음에도 불구하고 관리소홀과 홍수 등으로 돌더미가 무너져 내리고 폐허가 되면서 등산객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로구는 문화재청과 서울시의 예산지원을 받아 정밀실측 등을 거쳐 2009년부터 본격적인 축성에 들어간다.
종로구 관계자는 “산성이 복원되면 성곽을 따라 수려한 주변 경관을 즐기면서 등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12-18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