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사위원회는 21일 “새 정부의 부처 통폐합 방침에 따라 내년 신규 모집 정원의 대폭 축소가 불가피하다.”면서 “극단적일 경우 뽑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조직의 정원과 현원을 조정하는 행자부의 관계자도 “현재 각 부처에서 공중에 뜬 대기인원만 6000여명으로, 공석이 나면 이 인원을 우선 배치할 예정”이라면서 “하반기 신규 채용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자칫 내년 신규 채용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000명의 공석이 날 경우 이 자리는 전적으로 기존 공무원들로 채워질 것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지난 40여년 동안 해마다 공채를 시행해온 만큼, 채용을 하지 않기보다는 대폭 줄이는 선에서 그칠 가능성이 높다.
내년 공무원 시험이 치러지지 않는 다면, 서울 노량진 등 공무원 전문 학원가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24만명의 수험생들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 최소 1∼2년간 준비해온 수험생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인사위가 집계한 지난해 7급 수험생은 5만 8000여명,9급 수험생은 18만명에 달한다. 인사위는 지난해 3500여명에 이어 올해도 7급 1172명,9급 3357명 등 총 4500명 이상을 뽑을 예정이다.
노량진의 한 공무원 학원 관계자는 “수험생들이 혼란을 겪을 수 있다.”면서 “특히 지방에서 대학을 나온 수험생들의 경우 학교 간판을 따지지 않고 성적만으로 충원하는 공무원직을 많이 선호하는데 타격이 클 것”이라고 걱정했다.
학원가는 일정 인원을 반드시 뽑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수험생들도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반발한다. 특히 최근 빈곤한 수험생에 대한 가산점 지원과 외국인 공무원의 활성화 등 새 정부들어 임용 경쟁률이 심해지던 터에 나온 얘기라 우려를 더한다.
인사위는 일단 흡수 통합되는 행자부의 내년 조직 정원 개편과 부처들의 수급 상황을 지켜볼 계획이다.
인사위 관계자는 “각 부처별로 결원수를 파악해 내년에 필요한 인원을 신청받아 엄격하게 검토할 것”이라면서 “청년 실업 문제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선발 축소 쪽으로 행자부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