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정치인 < 관료 < 내부승진
정치인과 군인 출신 공기업 사장의 경영 성적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23일 한국행정학회에 따르면 김헌(고려대 행정학과 박사과정)씨는 이같은 내용의 ‘공기업 사장 임용 유형별 경영성과 차이 분석’이라는 논문을 최근 이 학회에 제출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외부 민간전문가 출신의 경영 성적도 의외로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해당 분야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내부 출신 사장의 경영 성적이 가장 높게 나와 이를 반증했다.
이 논문은 2000∼2005년 한국전력·도로공사·주택공사·수자원공사·토지공사·석유공사·광업진흥공사·농수산물유통공사 등 13개 정부투자기관 사장 78명의 ‘사장경영평가’ 결과를 분석했다.
공기업 사장 78명의 출신을 보면, 군인·정치인이 34명으로 전체의 43.6%를 차지했다. 관료는 25.6%인 20명, 외부 전문가는 17.9%인 14명, 내부 승진자는 12.8%인 10명이었다.
분석 결과 내부 승진자의 경영 평균 점수는 83.7점으로 가장 높았고 관료 출신이 81.1점, 외부 전문가가 79.7점, 군인·정치인이 79점으로 꼴찌였다.
군인·정치인 출신 가운데 해당 공기업과 관련한 경험을 갖고 있는 사장은 5.9%인 단 2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94.1%인 32명은 전혀 관련 경험이 없었다.
외부 전문가 14명 가운데에서 해당분야 경험이 있는 사장은 78.6%인 11명이었다. 관료출신 20명 중에서 해당 공기업과 관련한 경험을 갖고 있는 사장은 85%인 17명이었다.
김씨는 논문에서 “공기업 사장 교체시 가장 염두에 둬야 할 대목은 해당 기관에 대한 경험이 있는 인재를 선발해야 한다는 점”이라면서 “해당 공기업의 업무에 대한 경험이 축적된 내부승진자, 관료출신들의 경영성과가 높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
2008-1-24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