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에너지 외교’ 극대화를 강조한 데 이어 ‘자원외교형’ 한승수 국무총리가 지명되자 외교부내 에너지·자원외교와 관련이 깊은 지역국들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아프리카중동국과 중남미국, 유럽국 등이 주인공으로, 그동안 북미국이나 북핵 관련 부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해 ‘마이너’로 여겨졌으나 새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자원외교 강화로 기지개를 켜게 될 전망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9일 “새 정부에서는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자원정상외교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중동 및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국들의 역할도 확대될 것”이라며 “그동안 치중해 온 4강 외교를 뛰어넘어 국력에 걸맞게 외교활동 범위를 넓힌다는 차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한 총리 지명자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중동뿐 아니라 아프리카·러시아 등으로까지 자원외교를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아중동국과 유럽국, 중남미국 등은 벌써부터 준비 태세에 돌입했다는 후문이다. 이달 초 대통령직 인수위측에 에너지·자원외교 관련 현황을 제출한 뒤 이 당선인의 취임 후 첫 방문국을 검토하는 등 구체적 방안 마련에도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아중동국은 올 상반기 중 중동지역 20여개 국이 참가하는 민·관 합동 네트워크인 ‘중동 소사이어티’를 발족하는 데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