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철(46) 이장은 4일 “올 풍어제는 기름오염사고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태안의 안녕과 재도약을 기원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풍어제에는 매년 1000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으나 올해는 크게 줄 것으로 예상돼 마을 주민들은 풍어제 기간동안 숙박료를 30% 깎아주고 굴 등 지역 수산물을 싸게 팔 계획이다.
이 풍어제는 소를 잡아 제물로 바치는 피고사로 막을 올린다. 돼지는 임경업 장군을 모시는 뱀신과 상극이란 이유로 쓰지 않는다. 풍어제가 열릴 때는 주민들도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다.
이어 집집마다 돌며 풍어와 마을 안녕 등을 기원하는 세경굿이 열린다. 굿이 끝나면 어민들은 제주를 선두로 제물과 5색 뱃기를 들고 당집에 가 밤새 굿판을 벌인다.1년간 배를 지켜줄 선신의 내림을 받기 위해서다.
이튿날 새벽 바다를 떠도는 넋을 달래는 강변용신굿과 고기잡이 때 부르던 붕기풍어타령으로 막을 내린다. 황도는 옛날 먼바다로 나가 참조기잡이를 하던 때부터 매년 정월 초이틀에 성대하게 풍어제를 열어오고 있다. 이 풍어제의 제주는 여성이 맡게 되는데 한달 전부터 매일 목욕재계를 하면서 부부간 잠자리도 피한다. 굿판은 유명 무속인 김금화씨가 30여년째 맡아오고 있다. 풍어제는 1991년 충남도 무형문화재 12호로 지정됐다.
태안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8-2-5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