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전자산업도시인 경북 구미시가 15일로 시 승격 30년을 맞는다.1978년 2월15일 시로 승격됐다. 시 승격 이전엔 선산군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이었다.
시 승격때 9만여명에 불과했던 인구는 39만여명으로 늘어 전국 지자체 대비 중급 정도가 됐다. 지금은 7개 읍·면과 19개 동으로 구성됐다. 선산군 시절 농업이 주축이었으나 1970년대 초 정부의 수출 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구미에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국내 최대 수출기지로 발돋움했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단일 공단 최초로 단지내 기업들이 한해 수출 300억달러를 돌파하는 등 국내 수출의 한 축을 담당한다. 주민 평균소득도 지난해 1인당 2만 8000달러로 전국 242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구미국가산업단지는 2년전부터 문을 닫는 기업이 잇따르는 등 이상징후를 보이고 있다. 또 최근 수도권 규제 완화가 거론되면서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있다.
구미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와 발광다이오드산업을 또다른 성장동력으로 키워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친 환경과 교육·문화에도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 불법 쓰레기와 불법 광고물을 없애는 운동을 벌이는 등 기본에 충실한 도시만들기도 목표 중에 하나다.
구미시는 시 승격 30주년 기념 행사를 다양하게 마련했다. 기념 영상물과 시정 30년사,30년 화보 등을 제작해 이력을 기록하고 기념 숲과 야외 조각 공원, 조형물 등을 설치해 시 승격을 자축할 예정이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시 승격 30년을 제2의 도약을 위한 분기점으로 삼겠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