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기부’ ‘보복가부’ ‘농수식부’ 왠지 어색한데…
정부부처들이 약칭과 영문 이름 때문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2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각 부처는 직제 등이 관보를 통해 공포되는 29일부터 변경된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각 부처는 또 공식 명칭을 줄여 부를 수 있는 약칭 등도 확정해야 한다. 기존 관행대로라면 2개 이상의 단어를 쓰는 부처는 각 단어에서 한 글자를 따서 약칭으로 활용했다. 예컨대 행정자치부는 행자부로, 재정경제부는 재경부로 각각 줄여 불렀다.
특히 약칭은 공식 명칭보다 더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소홀히 할 수 없다. 하지만 정부 조직개편으로 통합 부처들이 대거 생겨나면서 명칭이 길어져 약칭을 정하는 게 쉽지 않다.
기존 관행을 따를 경우 통합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가족부·농수산식품부는 문광체부·교과기부·보복가부·농수식부 등으로 뜻모를 ‘외계어’로 둔갑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 역시 약칭을 기재부·국해부·지경부 등으로 쓰면 어감이나 억양이 좋지 않다.
이에 따라 기존 관행보다는 업무 중요성을 감안해 약칭을 정하는 부처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기획예산처는 언론 등에서 기획처·예산처·기예처와 같은 여러 약칭을 사용하자, 기획처로 통일해 달라는 주문을 내기도 했다. 같은 맥락에서 기획재정부는 약칭을 재정부로 쓰기로 잠정 확정했다.
다만 행정안전부의 경우 행정부로 하면 정부 전체와 혼동되고, 안전부는 행정이라는 주요 기능을 포함하지 못하는 만큼 어쩔 수 없이 약칭을 행안부로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부처 명칭뿐 아니라 약칭을 통해 업무 성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름이 길어지고 복잡해지면서 약칭 정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새 장관이 정식 취임하면 확정하겠지만, 약칭 때문에 고민 아닌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문 이름도 고민거리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영문 이름은 기획재정부의 경우 ‘Ministry of Strategic Planning and Finance’, 지식경제부는 ‘Ministry of Knowledge-based Economy’ 등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의 영문 이름 중 Strategic(전략적)은 군사적 의미가 담겨 있고, 다른 나라들도 경제부처 명칭에 이같은 단어를 쓰지 않는다.”면서 “Planning(기획·계획) 역시 개발시대를 연상시킬 수 있어 수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지식경제부의 Kn owledge(지식)라는 단어를 넣으면 의미가 모호해진다.”면서 “에너지 주무부처라는 의미가 이름에 반영되지 못한 것도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8-2-29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