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t 트럭 166대·대형박스 2000개
지난주 말 역대 최대 규모의 정부 부처 대이동이 시작됐다. 거대한 규모만큼이나 12일 정부청사 곳곳에서는 ‘이사 후유증’도 일고 있다. 과연 어느 정도의 물량과 인력, 비용이 투입됐을까.옛 정책기획위원회를 제외한 정부중앙청사내 기관과 주변 8개 기관 등이 자리를 옮겼다.13∼17일에는 기획재정부 등 과천청사 19개 기관이 이전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소에 따르면 1단계인 중앙청사와 주변기관 이전에는 5t짜리 트럭 166대, 사과박스 이상 크기의 중·대형박스 2000개, 인력 170명이 동원됐다. 물량 이동에 필수적인 박스 길이를 하늘로 세우면 63빌딩(249m)의 7배에 달한다. 비용은 과천청사까지 포함해 5억원 정도다. 이를 위해 대한통운, 무빙플러스, 이사은행,CIA 등 4개 택배 회사는 뜨거운 입찰 경쟁을 벌였었다.
가장 짐이 많은 부서는 국민권익위원회로 합쳐진 국가청렴위로,5t트럭 100대 분이다. 폐지된 국정홍보처도 5t트럭 20대와 1t트럭 4대가 투입됐다. 옛 중앙인사위원회 자리로 일터를 옮긴 여성부는 5t트럭 18대가 들어갔다.
당초 이전 비용과 물량을 감축하기 위해 사무실 책상 등은 그대로 두기로 했으나, 법제처는 사무집기와 책상 등 전체를 옮겼다. 지난주 말 이전 예정이던 미래전략위원회(옛 정책기획위원회)는 청와대 인사 결정 이후 옮기기로 해 한 주 연기됐다.
주소지가 완전히 바뀌는 중앙청사 인근 기관들과 달리 과천청사는 건물간 이동이 많아 부담이 덜하다.
하지만 과천청사관리소측은 통·폐합돼 이동하는 과학기술부, 옛 기획예산처로 옮기는 공정거래위원회 등은 짐이 특히 많다고 밝혔다.
과천청사에서는 5t트럭 100대와 인력 200여명이 필요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한 관계자는 “이번 이전은 역대 가장 큰 규모”라면서 “1994년(김영삼정부)과 98년(김대중정부)에도 부처 통폐합 등의 이동이 있었지만 건물 내 이동이어서 5∼10개 부처가 움직여도 규모가 이처럼 크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이전에서는 이동하기 수월한 날짜를 잡기 위한 부처간 눈치 작전도 치열했다는 후문이다.
임우택 행안부 청사관리소 계장은 “부처간 이전 계획이 많이 겹쳐 조정하는 데 곤욕을 치렀다.”면서 “미리 물량 등 기초계획을 세워 제공하면 승강기나 주차장 하역관리 등 신속하게 일을 진행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전한 부처에서는 직원들이 마스크를 쓴 채 짐 정리와 청소를 하느라 부산했다. 특히 여성부를 비롯한 몇몇 기관은 전화선과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아 업무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08-3-13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