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재산 불렸나
중앙부처 고위공직자들이 재산을 불리는 데는 부동산과 주식이 ‘쌍끌이’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28일 공개된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지방정부 고위공무원 1739명의 부동산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평가액 증가분은 평균 1억 300만원이다.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가만히 앉아서 억대 수익을 올린 셈. 또 이익이 미실현된 평가액을 제외한 순 재산 증가액 5522만원 중 대부분은 주식·펀드 투자 등 금융소득이 차지했다.
지난해 중앙부처 공직자 중 재산 증가액 1위에 오른 신철식 전 국무조정실 정책차장의 경우 36억원을 불렸다. 부동산 가격 상승과 배당이익 등 예금 증가로 벌었다.24억원이 늘어나 2위에 오른 김청 함경남도지사도 서울 마포구 성산동의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이 재산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이었다.4위인 김기수 전 대통령 비서관도 부동산·주식 등으로 16억원,5위인 이종구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은 주식 매각 등으로 14억원의 재산이 각각 늘어났다.
부동산과 금융 등 경제정책을 다루는 정부부처 고위공직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재테크의 달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부동산정책을 주도한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 공무원들은 지난해 불린 재산 중 86%가 부동산 평가액 상승분으로 파악됐다.
재경부 1급 이상 고위공무원 9명의 평균 재산액은 13억 1265만원으로, 이 중 부동산 평가액이 85%인 11억 1619만원이다. 건교부 고위공무원 7명도 평균 재산액 18억 2588만원의 82.5%인 15억 763만원이 부동산 자산이었다. 또 재경부 고위공무원들은 지난해 불어난 평균 재산 증가액 2억 8252만원의 91.9%인 2억 5971만원, 건교부 고위공무원들도 1억 9165만원의 75.4%인 1억 4445만원이 각각 부동산 가치가 올라간 덕이다.
재경부 고위공무원 중 최고의 부동산 부자는 조원동 차관보이다. 부동산 평가액만 26억 5358만원으로, 전체 재산 27억 6298만원의 96%를 차지했다. 원인희 건교부 기반시설본부장은 부동산 평가액만 59억 8070만원으로, 경제부처를 통틀어 최고의 부동산 부자였다.
반면 금리 조정 등 통화정책을 입안하는 한국은행 임원들은 부동산보다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비중이 높았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전체 자산 17억 5512만원 중 부동산 자산은 6억 9700만원에 그친 반면, 은행예금이 10억 1671만원에 달했다. 이승일 부총재도 전체 재산 25억 9624만원의 75%인 19억 4806만원을 예금으로 보유 중이다.
이밖에 국가 재정을 책임진 기획예산처의 경우 재정운용실장을 맡았던 김대기 통계청장은 보유주식이 944만원에서 4059만원으로 4배 이상 급등했고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8-3-29 0:0: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