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서울 등 일부 시·도교육청이 올해말 실시하는 2009학년도 해당 지역 외국어고 입시전형에서 중학교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성적까지 내신에 반영하기로 하면서 기말고사 일정이 상대적으로 늦은 경기도내 중학생들이 해당 지역 외고에 사실상 응시할 수 없게 된 데 대한 대책이다.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외고가 있는 전국 13개 시·도 가운데 서울 등 5개 시·도교육청은 오는 12월 초 원서접수와 신입생 선발시험이 실시되는 외고들의 2009학년도 입시부터 응시자들의 내신성적을 기존 ‘3학년 1학기까지 성적’에서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성적’까지 확대 반영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원서접수 및 전형일 이후 또는 임박해서 2학기 기말고사를 실시할 예정인 경기도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서울 등 5개 지역 외고 시험 응시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서울 등 타 지역 외고 진학을 준비해 온 도내 중3 학생 및 학부모들이 경기도교육청에 기말고사 일정을 앞당겨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해 왔다.
경기도교육청은 5개 시·도교육청에 응시자들의 내신성적을 3학년 2학기 중간고사까지만 반영해 주도록 요청했으나 충북교육청을 제외한 서울 등 나머지 교육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따라서 경기도교육청은 일선 중학교에 5개 지역 외고 응시자들을 위해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2학기 기말고사 일정을 조정하도록 했다.
이번 조치로 일선 학교가 3학년생들의 2학기 기말고사를 오는 11월말로 앞당길 경우 해당 학교 학생들은 서울 등 해당 지역 외고 신입생 선발고사에 지원이 가능하게 된다. 매년 경기도내 중3 학생 900여명이 서울지역 6개 외고에 지원, 이 가운데 450명 정도가 합격을 하고 있으며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시·도 특목고로 진학하는 도내 학생들도 연간 수백명에 이르고 있다.
도 교육청 중등교육과 관계자는 “학사 조정 권한이 관련 규정상 학교장에게 있는 상황에서 도 교육청이 전 학교에 일률적으로 기말고사 일정을 조정하라 마라 할 수는 없다.”며 “따라서 외고 지망생이 있는 학교 교장이 자율적으로 기말고사 일정을 조정하도록 한 이번 조치도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